한국고대사회의 군사와 정치

김영하 · 역사
351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4.0
평균 별점
(1명)
코멘트
더보기

삼국시대에 각국의 서로 다른 사회 경제적 조건 또는 문화적 배경에 상응한 군사적 통치관행과 전쟁, 통치영역의 통제와 관리,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신라의 왕권과 귀족세력의 위산 차이에 따른 정치체제의 변천과정을 정리-분석하였다.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그부호> 웨스 앤더슨 감독

비주얼 마스터의 독보적 세계관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목차

제1장 삼국시대의 군사훈련과 통수 제1절 고구려왕의 군사훈련 1. 전렵관련사료의 검토 2. 전렵의 사회경제적 기반 3. 전렵의 군사훈련기능 제2절 백제왕의 군사훈련과 통수 1. 전렵과 열병관련사료의 검토 2. 전렵과 열병의 사회문화적 배경 3. 전렵과 열병의 군사훈련과 통수기능 제3절 신라왕의 군사훈련 - 열병관련사료의 분석- 제2장 삼국의 전쟁수행과 기능 제1절 삼국의 전쟁수행조건과 유형 제2절 삼국의 전쟁수행.상과 시대구분 1. 고구려의 공격지향전쟁 2. 백제의 공.방편향전쟁 3. 신라의 방어위주전쟁 제3절 삼국의 발전단계와 전쟁의 기능 1. 국가형성기의 소국복속 2. 국가발전기의 영역확장 3. 국가완성기의 세력각축 제3장 삼국시대의 영역통제와 관리 제1절 고구려왕의 영역통제 1. 순수관련사료의 검토 2. 순수지의 전략거점적 의미 3. 순수의 영역통제기능 제2절 백제왕의 영역관리 - 순무관련사료의 분석 제3절 신라왕의 영역관리와 통제 1. 순행과 순수관련사료의 검토 2. 순행지와 순수지의 변경요충적 의미 3. 순행과 순수의 영역관리와 통제기능 제4장 신라 정치체제의 변천과정 제1절 상고기의 관등분화와 귀족평의체제 1. 관등체계의 분화와 형성 2. 관등체계의 운영과 기능 3. 관등과 귀족회의의 관계 제2절 중고화의 관직분리와 대왕전제체제 1. 대왕전제체제의 지향과 확립 2. 신.구귀족세력의 분열과 대립 3. 중앙집권국가로의 전환 기반 결론 보론 - 한국 고대사회의 정치구조 참고문헌 색인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