옮긴이의 말
서문
[ 1부 시점의 이론 ]
1장 우리는 어디에서 영화를 바라보는가?
시점의 일반적 정의
- 더 잘 보기, 더 많이 보기
- 양적인 것에서 질적인 것으로
- 속임수와 시점
- 물리적 시점, 정신적 시점
초기 영화 속의 '광경들'
2장 단일 시점
단일 시점과 이야기
시선의 구성 : '시선'의 지점과 시점
유일 시점과 포획된 관객
- 트래블링은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했다...
- 누가 '물에 젖은 물 뿌리는 사람'을 바라보는가?
원근법과 리얼리티 효과
- 진정한 '단일 쇼트 시퀀스'
- 발이 다섯 개인 황소
3장 프레임과 시점
시점의 지표들
1. 원근법 : 재현의 체계
2.1 프레임 : 일곱 개의 공간들
2.2 프레임, 위쪽과 아래쪽
2.3 잠재적 응시자
3. 촬영 각도
4. 눈높이 시점
5. 다다미 높이 시점
6. 시각 행위의 장애물들
7. 카메라를 바라보는 시선
8. 질문하는 시선
9. 초점거리, 줌, 깊이
4장 복합 시점
데쿠파주, 영화 언어의 탄생?
신형적 서술을 향하여
거주 가능한 공간을 향하여
누가 보고, 누가 바라보며, 누가 아는가?
영화에서도 초점화는 이루어진다!
에필로그를 대신하며
[ 2부 시점의 실제 ]
발췌문
- 영화, 시간의 예술 그리고 공간의 예술
참고 자료
'맨 헌트' : 카메라와 소총
쇼트 분석
- 쇼트 역쇼트 : '알롱상팡', '인생은 아름다워'
참고 자료
- '안녕하세요' : 단절
발췌문
-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장치
- '이창' : 무대장치와 부분적 시선
참고 자료
- '이창' : 적절한 거리
발췌문
- 영화에서의 이중적 동일화
발췌문
- 시간, 음향
참고 자료
- 시점과 초점거리
발췌문
- 딥 포커스
쇼트 분석
- '시민 케인', '맨 헌트', '우리의 사랑을 위하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