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점

조엘 마니
143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5(90명)
0.5
3.5
5
평가하기
3.5
평균 별점
(90명)
코멘트
더보기

영화에서의 '시점'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개론서이다. 1부는 영화적 시점의 탄생과 발전 과정에 대한 연대기적 고찰이다. 2부에서는 다양한 인용문과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1부의 이론적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시나리오>, , <애니메이션>에 이어 '카이에 뒤 시네마 영화이론' 시리즈의 네 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이 시리즈는 프랑스의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와 프랑스 문화성이 공통 기획한 영화이론 총서인 '프티 가이에' 시리즈를 선별, 번역한 것으로, 영화의 기본적인 개념들에 대한 설명과 역사적인 진전 과정을 담고 있다.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별점 그래프
평균 3.5(90명)
0.5
3.5
5

'그부호' 잇는 독보적 감성

비주얼 마스터 웨스 앤더슨 신작

<페니키안 스킴> · AD

저자/역자

코멘트

2

목차

옮긴이의 말 서문 [ 1부 시점의 이론 ] 1장 우리는 어디에서 영화를 바라보는가? 시점의 일반적 정의 - 더 잘 보기, 더 많이 보기 - 양적인 것에서 질적인 것으로 - 속임수와 시점 - 물리적 시점, 정신적 시점 초기 영화 속의 '광경들' 2장 단일 시점 단일 시점과 이야기 시선의 구성 : '시선'의 지점과 시점 유일 시점과 포획된 관객 - 트래블링은 아무런 변화를 주지 못했다... - 누가 '물에 젖은 물 뿌리는 사람'을 바라보는가? 원근법과 리얼리티 효과 - 진정한 '단일 쇼트 시퀀스' - 발이 다섯 개인 황소 3장 프레임과 시점 시점의 지표들 1. 원근법 : 재현의 체계 2.1 프레임 : 일곱 개의 공간들 2.2 프레임, 위쪽과 아래쪽 2.3 잠재적 응시자 3. 촬영 각도 4. 눈높이 시점 5. 다다미 높이 시점 6. 시각 행위의 장애물들 7. 카메라를 바라보는 시선 8. 질문하는 시선 9. 초점거리, 줌, 깊이 4장 복합 시점 데쿠파주, 영화 언어의 탄생? 신형적 서술을 향하여 거주 가능한 공간을 향하여 누가 보고, 누가 바라보며, 누가 아는가? 영화에서도 초점화는 이루어진다! 에필로그를 대신하며 [ 2부 시점의 실제 ] 발췌문 - 영화, 시간의 예술 그리고 공간의 예술 참고 자료 '맨 헌트' : 카메라와 소총 쇼트 분석 - 쇼트 역쇼트 : '알롱상팡', '인생은 아름다워' 참고 자료 - '안녕하세요' : 단절 발췌문 - 텍스트에서 이미지로 장치 - '이창' : 무대장치와 부분적 시선 참고 자료 - '이창' : 적절한 거리 발췌문 - 영화에서의 이중적 동일화 발췌문 - 시간, 음향 참고 자료 - 시점과 초점거리 발췌문 - 딥 포커스 쇼트 분석 - '시민 케인', '맨 헌트', '우리의 사랑을 위하여' 참고문헌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6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