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로움의 함정

이완정 · 사회과학/인문학
316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PART 1. 외로움은 어떻게 함정이 되는가 01 외로움의 정체 마냥 불안하고 고통스러운 정서? 외로움은 문화에 영향을 받는다? 외로움은 왜 존재하게 되었나? 왜 우리는 외로움에 주목해야 하는가? 외로움은 마음의 병일 뿐일까? 02 함정의 속성과 사건 외로움도 선을 넘으면 함정이 기다린다 함정까지의 길에는 단계가 있다 함정으로 더 깊이 밀어 넣는 사건들 부정적 상황과 인식의 지속적 유지 03 외로움의 함정 단계별 특징 1st Phase : 일상적 단계 2nd Phase : 심화적 단계 3rd Phase : 고립적 단계 04 외로움의 요인 1) 상황 : 가장 근본적 조건이자 요인 2) 상황 인식 : 상황을 외로움으로 판단하는 인식 3) 자기 인식 : 자신이 누구인지를 규정하는 인식 4) 개인 기질과 특성 : 태생적이거나 바꾸기 어려운 요인 PART 2. 사회구조적으로 고립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01 사회적 고립의 발생 배경은 무엇인가 전통적인 공동체의 붕괴 가족이라는 환상 경쟁 격화로 인한 사회적 배제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부터의 소외 AI 시대의 도래와 인간관계 02 사회적 고립의 실상은 어떠한가 고립이 초래하는 심리적 위기들 고립과 일상생활의 붕괴 외로움의 마지막 함정인 자기방임 03 고립은 왜 문제인가? 외로움은 만병의 근원 중독에 빠지다 사기 피해의 대상이 되다 PART 3. 우리 사회에서 고립은 어떤 모습을 하고 있나 01 혼자가 기반이 되는 사회의 도래 비사교적인 시대 우리나라의 사회적 고립은 어느 정도일까 02 사회적 약자로 전락해 버린 청년들 왜 고립·은둔에 빠지는가 청년 고립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자립을 위한 청년기의 과업 03 사회 변화의 직격탄을 맞은 중년층 중년층의 위기 중년층의 정서적 고립 04 오래 사는 것이 리스크가 된 노년층 초고령사회가 된 대한민국 노인과 사회적 관계망 AI 시대의 노인의 고립 PART 4. 고립에 사회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01 고립은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02 생활을 지원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03 지원 거부에 대한 이해와 대응 왜 지원을 거부하는 것일까? 지원 거부의 유형 지원 거부자에 대한 정보 파악 지원 거부자에 대한 대응 04 사회적 연결 만들기 사회적 처방 영국과 일본의 사회적 처방 사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PART 5. 고립에 빠지지 않기 위해 개인은 어떻게 해야 하나 01 관계의 밀도, 행복의 유일한 지표 02 새로운 세상과 관계 맺기 03 외로울 수 있는 능력 04 건강한 방식으로 퇴행하기 이 글을 마치면서 참고 문헌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외로움의 함정, 보이지 않는 고립의 덫, 그 안에 갇힌 우리를 위한 심리학 우리는 왜 이토록 연결되어 있으면서도, 점점 더 외로워지는 걸까? 바쁜 일상 속 수많은 사람들과 스쳐 지나가지만, 마음은 텅 빈 채로 남는 순간들. 『외로움의 함정』은 현대 사회가 만들어낸 관계의 결핍과 정서적 고립을 날카롭게 조명하며, 외로움이 개인의 심리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이 책은 단순히 외로움을 감정적인 문제로 다루지 않는다. 외로움이 뇌에 미치는 생물학적 변화, 유대감이 결핍될 때 우리의 삶에서 어떤 균열이 일어나는지, 그리고 우리가 왜 스스로 외로움의 감옥을 만들고 마는지를 다양한 사례를 통해 풀어낸다. 진짜 연결은 무엇인가? 어떻게 하면 더 이상 외롭지 않을 수 있을까? 『외로움의 함정』은 당신이 놓치고 있던 진정한 관계의 가치를 되찾고, 외로움이라는 깊은 수렁에서 벗어날 길을 제시한다. 당신의 외로움이 말 걸어올 때, 이 책이 먼저 손을 내밀어줄 것이다. 외로움의 함정: 사회복지사를 위한 심리학적 통찰 현장 사회복지사라면 누구나 한 번쯤 ‘외로움’이라는 단어 앞에서 잠시 멈추게 된다. 『외로움의 함정』은 바로 그런 복지 현장의 최전선에서 고립과 외로움에 직면한 이들과 만나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고군분투하는 이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은 외로움이 단순한 감정이 아니라, 인간의 본능과 사회 구조, 그리고 정신 건강 전반을 위협하는 복합적 문제임을 말하고 있다. 외로움의 진짜 시작점부터, 사회적 고립이 개인의 뇌와 행동, 자존감, 삶의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해부하여, ‘왜 실질적 복지 지원만으로 고립이 해소되지 않는가’라는 근본적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목표로 하고 있는 ‘삶의질 향상’, ‘생활지원’, ‘일상생활 회복’ 등의 진정한 의미가 무엇인지를 생각할 수 있다. 이 책은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외로움 속에 쉽게 빠질 수 있는 함정을 인식하고, 연민과 공감, 전문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며 균형 있는 지원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외로움의 함정』은 사회적 고립 문제의 실전적 해법과 더불어, 사회복지사 스스로도 소진이나 감정적 고립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자기돌봄의 중요성을 함께 제시하며, “진정한 연대와 변화는 이해에서 시작된다”는 메시지를 전한다.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의 본질을 이해하고 싶은 모든 복지 실무자를 위한 깊이 있는 안내서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