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말] 말은 우리의 생각을 조종한다 PART 1 인간에 대한 편견의 말 chapter 1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 나머지는 안 봐도 비디오야 | 정말 하나를 보면 열을 아는가? | 열을 봐도 하나를 알기 어렵다 - 한나 아렌트 《인간의 조건》 chapter 2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 ? 언제부터 이렇게 살았을까? | 심리적, 유전적 근거가 동원되다 | 욕구가 인간을 변화시킨다 - 제러미 벤담 《도덕과 입법의 원리 서설》 chapter 3 공부는 때가 있다 ? 공부 기회는 지금뿐이야 | 우정과 첫사랑은 나중에 경험해도 되는가? | 누구를 위한 상식인가? - 에리히 프롬 《소유냐 존재냐》 chapter 4 찬물도 위아래가 있다 ? 너 몇 살이야? | 노인과 소년이 친구라고? | 위아래가 없어야 우정이다 -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우정에 관하여> chapter 5 진정성이 있어야 한다 ? 저 사람은 진정성이 없어 | 진정성의 정체는 있는가? | 인간은 임시변통 재주꾼이다 - 질 들뢰즈 《안티 오이디푸스》 chapter 6 인간은 다 이기적이다 ? 인간은 이기적 존재라는 상식 | 유전적으로 결정된 이기성? - 리처드 도킨스 《이기적 유전자》 | 이타성이 진화를 이끈다 - 매트 리들리 《이타적 유전자》 PART 2 세상을 왜곡시키는 말 chapter 7 아는 만큼 보인다 ? 먼저 알아야 한다는 강박관념 | 현대미술은 알아야 보이는가? | 보고 느끼고 안다 - 레프 톨스토이 《예술이란 무엇인가》 chapter 8 아프니까 청춘이다 ? 청춘은 원래 아프다는 위안 | 불확실과 불안 속에 사는 청춘 | 청춘의 희망은 어디에서 오는가? - 조지프 피시킨 《병목사회》 chapter 9 소확행을 즐겨라 ? 일상의 작은 행위에서 행복을 찾다 | 소확행이 행복을 주는가? | 진정한 욕구인가, 허위의 욕구인가? - 헤르베르트 마르쿠제 《일차원적 인간》 chapter 10 손님은 왕이다 ? 손님이 제왕이 되다 | 소비중독 사회의 일그러진 자화상 - 존 더 그라프 《어플루엔자》 | 감정의 상품화 - 앨리 러셀 혹실드 《감정노동》 chapter 11 그놈이 그놈이다 ? 모든 정치인은 썩었다? | 정치 불신이 만드는 정치적 무관심 | 정치가 희망이다 - 박상훈 《정당의 발견》 chapter 12 여성은 모성애가 있다 ? 여성만의 신비한 본능? | 모성애가 여성에게 강제하는 것 | 모성이라는 신화의 역사 - 섀리 엘 서러 《어머니의 신화》 참고 도서 | 도판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