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음료를 고르는 것일까?
“그냥!?”
네이버․카카오 브런치, 누적 1,800만 뷰 콘텐츠
“음료 덕후의 성지, 마시즘!”
“음료의, 음료에 의한, 음료를 위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마시즘은 음료에 대한 숨겨진 이야기를 전달하는 음료계의 흥신소다. 실제로 밥보다 후식으로 나오는 음료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모여 있다 보니 식당에 가면 별의별 이야기가 다 나온다. 누구는 중간중간 벌컥거리며 마시는 물이 맛있다고 생각한다. 누구는 콜라를 시켜야 할까 고민 중이며, 누군가는 식사를 빨리 마치고 카페에 가고 싶어 한다. 마지막으로 남은 사람은 술집에 들러 맥주를 한잔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식탁 위의 동상이몽은 대개 이런 식이다. 우리는 일상의 순간순간 음료를 찾는데, 그 종류와 이유가 제각각이다.
맛에 대한 취향은 좁혀지지 않아서 알고 있는 대의명분을 쥐어짠다. ‘세상사 모든 음료는 물 대신 나온 것이거늘’이라는 음료 허무론부터 시작해 ‘히틀러가 콜라덕후여서 환타를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중세 유럽에서는 사형수에게 사약 대신 커피를 마시게 했다’, ‘맛있는 맥주를 마시지 못하면 시민혁명이 일어나는 나라가 있다’는 등 엄청난 이야기가 쏟아진다. 그런 내용을 어디에서 배웠냐고? 바로 대한민국의 유일한 음료 미디어 ‘마시즘’에서다!
한 번 보면 빠져드는 톡 쏘는 필력과 덕력의 컬래버레이션!
대한민국 최초이자 최고의 ‘음료 미디어’ 마시즘은 오직 마실 수 있는 음료 이야기만 다룬다. 마시즘의 음료 리뷰는 지난 2017년 4월 시작되었다. 2017년 대선 정국에서 대선 후보 포스터를 음료수로 패러디한 ‘음료 대선’이소셜미디어와 커뮤니티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음료 마니아들 사이에선 필독 콘텐츠로 자리 잡았다.
마시즘은 지난 2년 동안 한 번 보면 빠져들 수밖에 없는 톡 쏘는 필력이라는 씨줄과 음료 덕후의 덕력이라는 날줄의 컬래버레이션을 통해 음료 덕후들의 심장을 자극하는 콘텐츠를 선보였다. 마시즘의 콘텐츠에 매료된 독자들 가운데서 ‘마시즘이 이 정도는 다루어야 하지 않나요’라면서 음료 제보를 하거나, 아예 해외에서 구하기 힘든 음료를 가져다가 전달해준 사람마저 있을 정도였다는 게 이를 시사해준다.
오직 ‘음료’라는 작은 카테고리만 다루는 마시즘은 전문가와 덕후 사이에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버티컬 미디어’로 우뚝 섰다. 초창기엔 포털사이트에서 마시즘을 검색하면 파시즘이나 맑시즘으로 자동 수정되는 설움을 겪기도 했지만, 이젠 ‘버티컬 미디어’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2018년 『미디어오늘』의 ‘2018 저널리즘의 미래’와 ‘2018년 C-페스티벌’에서도 소개되었다. 현재는 한국 코카콜라 저니의 1호 오프너로 세계의 이색 콜라 등을 직접 마셔보고 소개하고 있다.
우리가 진정 원하는 것은 한 모금의 음료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식사를 하고 있다. 하지만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은 밥이 아니라 한 모금의 음료다. 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음료를 고르는 것일까? “그냥!” 조금 더 관심 있는 사람은 맛이나 가격, 성분을 보고 음료를 고른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이 빠졌다. 바로 이야기다. 하나의 음료에는 역사적인 사건부터 개인적인 추억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녹아 있다. 우리는 이야기에 매료될수록 음료를 고르는 이유와 취향이 단단해진다.
우리가 별 생각 없이 마시는 음료에는 엄청난 이야기가 숨어 있다. 맥주가 된 실수, 교황이 세례한 사탄의 음료수, 땀의 역사는 게토레이의 역사다, 직장인의 혈관에는 커피믹스가 흐른다, 참이슬과 처음처럼, 순한 소주의 독한 전쟁 등 음료에는 무궁무진한 알싸하고 쏘는 진한 이야기가 숨겨져 있다. 음료 자체에 대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음료를 즐긴 인물들의 이야기도 매력적이다. 커피 때문에 일어난 영국 최대의 부부싸움, 양조장을 헐값에9,000년 동안 임대해버린 아서 기네스의 이야기, 제2차 세계대전 중 코카콜라를 그리워해 ‘환타’를 만들었다는 독일의 이야기 등 음료에 대한 사회사까지 풍부하게 담겨 있다.
세상은 너무 넓고, 음료는 별처럼 많다. 마시즘은 아직도 이야기하지 못한 음료 이야기가 가득하다며 전의를 불태운다. 마시즘은 여전히 음료 자체는 물론 음료를 만드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개하면서 동시에 마시는 사람들의 이야기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다.
‘마시는 즐거움’을 널리 알리다
‘마시는 즐거움’의 목적은 지식 전달에 있지 않다. 동서와 고금을 종횡무진하면서 음료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와 지식을 전하고 있기에 ‘마시는 즐거움’은 교양서의 자격을 충분하게 갖추고 있지만 마시즘이 추구하는 가치는 오직 하나다. 그건 바로 ‘마시는 즐거움’을 널리 알리는 것이다. 물론 마시즘이 전하는 음료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와 해박한 지식은 우리가 매일 마시는 음료를 즐겁게 음미하면서 마실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그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딱딱한 역사 서술 방식에서 벗어나 저자 특유의 비유와 농담, 상황극까지 적절히 버무린 것도 오로지 ‘마시는 즐거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다. 이 책이 저자와 음료를 한 잔 나누며 대화를 하는 듯한 신나는 기분을 전해주고, 자신이 즐겨 마시는 음료를 더욱 특별하게 생각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마시즘은 엉뚱하다. 그 누구도 상상하지 못했던 음료 하나만 다루는 버티컬 미디어에 도전한 게 이를 잘 보여준다. 마시즘은 도전과 모험을 즐겨하는 미디어다. 마시즘이 생산한 콘텐츠 가운데엔 ‘3주간 매일 술 먹고 숙취 해소 음료 마시기’, ‘시중에서 파는 라면 국물 리뷰하기’ 등 음료 덕후가 아니라면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기발한 상상력과 재기 넘치는 발상의 콘텐츠도 적지 않다. 바로 그런 기존 상식의 장벽을 넘은 그런 엉뚱함은 마시즘만이 지닌 독특한 매력이기도 하다.
그간 ‘마시는 즐거움’의 저자들이 시중에 나와 있는 음료수는 물론이고 자신의 몸을 실험 대상으로 삼아 기발한 음료를 제작해 마셨던 것도 이런 엉뚱함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마시는 즐거움’을 널리 알리겠다는 마시즘의 비전과 목적 역시 그런 엉뚱함에서 나온 것임은 두말할 나위 없다. 마시즘은 우리가 마시는 음료에 대한 시각을 확장하는 것만으로도 삶이 더 즐거워질 수 있다고 믿는다. 커피, 맥주, 와인 등 음료에 대한 훌륭한 역사책은 많다. 하지만 지식을 넘어서는 진정한 ‘마시는 즐거움’을 느끼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라. 이 책을 읽고 우리가 할 수 있는 말은 하나다. “지금 마시러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