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우리 시대의 ‘리얼리스트’ 김현 현재와 미래에서 ‘서로의 긍지’가 되어주는 생생한 시편들 2009년 『작가세계』로 등단한 이래 활발한 활동을 펼쳐온 김현 시인의 두번째 시집 『입술을 열면』이 출간되었다. 하위주체와 대중문화, 퀴어와 SF 등의 소재를 자유롭게 넘나든 첫 시집 『글로리홀』(문학과지성사 2014) 이후 4년 만에 펴내는 시집이다. 『입술을 열면』은 악(惡)과 위악(僞惡)이 낮과 밤처럼 연속되는 우리의 사회현실에 대한 시인의 담대한 저항이자 이 상황을 함께 살아내고 있는 사람들의 민낯을 오래 바라본 다정의 기록이다. 김현을 두고 ‘리얼리스트’ 또는 ‘참여시인’이라는 익숙한 명명을 떠올릴 수도 있다. 아니 이런 명명법이 아니면 그와 그의 작품을 온전히 설명해낼 도리가 없다. 다만 시인은 구호가 아닌 부호로, 가르침이 아닌 보여줌으로, 계몽이 아닌 전위로 우리에게 새롭게 온다. “입술은 행동할 수 있다” “거리에서 당신은 당신의 입술을 느끼리라” ‘지금 이곳의 사회’에 전하는 연대의 노래 「조선마음」 연작시 수록 시인은 『입술을 열면』에서 디졸브(dissolve, 장면전환기법)라는 영화적 기법을 주로 사용한다. 시적 진술과 화자의 관념 사이에 다른 장면과 낯선 목소리를 끊임없이 중첩시키는 것으로, 시편들마다 각기 다른 기호로 디졸브가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김현의 새로운 시도는 파편화된 삶의 장면들을 온전히 재현해내는 통로이자, 파편이 낳은 세계의 불화들을 쓰다듬는 재건의 방법론이 되기도 한다. 이번 시집을 펼치면 「조선마음」 연작시가 가장 먼저 눈길을 끌 것이다. 애초에 시인은 ‘조선마음’을 가제로 두고 이 시집을 엮었다. 시인이 끌어들인 ‘조선’이라는 낯선 과거는 곧잘 암울한 미래(‘헬조선’)처럼 여겨지기도 하는데, 이것은 빠르게 흘렀지만 사실 변한 것은 아무것도 없는 우리의 비루한 현실을 되비추는 것이기도 한다. 아울러 이는 여성인권영화제 프로그래머, 청소년 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자원봉사자 등 다양한 삶의 궤적들을 오가며 시인이 직접 마주한 소수자들, 그들의 마음자리에 남아 있는 말들을 그러모아 이것을 다수의 목소리로 만들어온 시인의 이력과도 관련이 깊다. 이 시집에 수록된 시편들 대부분은 2013년부터 2015년, “인간의 존엄에 무심한 정권에 의해 삶이 삶으로, 죽음이 죽음으로 대접받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한 시기”(양경언, 해설)에 씌어졌다. “특별히 연도를 밝혀 적는 건, 우리가 과거의 시를 현재로 앞당겨오는 데 함께 연루되어 있음을 환기하기 위해서다.”(시인의 말) 다행히도 우리는 이 어둡고 힘든 시기를 촛불의 힘으로, 그 거리의 밝은 빛을 통해 현재로 건너올 수 있었다. 그 거리에서 우리는 서로를 부르고 손 잡아주면서 “빛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고 “계속해서 살아갈 힘을 다”(해설)질 수 있었다. 김현의 시집을 품에 안은 당신이 현재에도, 미래에도 ‘서로의 긍지’가 되어 그 거리를 지켜주었으면 좋겠다. “거리에서 당신은 당신의 입술을 느끼리라.” 동시에 “응축된 상처의 시간에 대해 자유로울 수 없는 당신을 만나게 되리라. 그 순간 같은 거리에서 손을 흔들며 반갑게 당신에게 인사를 건네는 사람”을 만나게 될 것이다. 김현의 시는 그렇게 “오랜 약속이었다는 듯 그곳에서 당신을 기다리고 있었을 것이다.”(송종원, 추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