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강남 좌파에 대한 오해 ? 4 제1장 왜 ‘1% 대 99% 사회’ 프레임은 위험한가?: ‘진영 논리’와 ‘진보 코스프레’의 오류 ‘불평등’은 언론인·학자들에게 인기가 없는 주제 ? 19 불평등을 은폐하는 ‘1% 대 99% 사회’ 프레임 ? 21 “가만, 내가 성공했다고 욕을 먹어야 한다는 거야?” ? 25 “한국은 20%가 80%를, 50%가 50%를 착취하는 사회” ? 27 ‘노동귀족’은 ‘수구꼴통’의 용어인가? ? 30 “높은 중산층 기준을 갖고 자학하는 한국인” ? 35 “고위 공직자 절반이 상위 5% 부자” ? 37 1% 비판에 집중하는 ‘진보 코스프레’ ? 41 ‘부의 세습’을 정당화하는 ‘능력주의 신화’ ? 44 능력주의 사회는 빈부 격차에 가장 둔감한 사회 ? 47 정파적 싸움으로 탕진한 ‘조국 사태’ ? 51 ‘진영 논리’가 ‘개혁과 불평등 해소’를 죽인다 ? 54 ‘공정으로서의 정의’를 거부한 진보 진영 ? 56 ‘승자독식’ 체제하의 ‘밥그릇 전쟁’ ? 59 ‘조국 사태’에서 선악 이분법은 잔인하다 ? 61 제2장 왜 정치는 중·하층의 민생을 외면하는가?: 개혁과 진보의 ‘의제 설정’ 오류 “검찰 개혁이 지나치게 과잉대표돼 있다” ? 67 동질적인 사람들끼리 어울리면 위험하다 ? 70 개혁을 민주화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하는 사고방식 ? 73 가습기 살균제 사망자가 1,449명인데도 ? 77 “정규직 안 해도 좋다. 더이상 죽지만 않게 해달라” ? 80 “아, 그거 『조선일보』가 하는 얘기야. 너 『조선일보』 보냐?” ? 82 ‘『TV조선』’과 조중동은 ‘박근혜 탄핵’의 공로자였다 ? 85 ‘선출되지 않은 권력’이 ‘선출된 권력’을 제압하려 했는가? ? 88 ‘조국 사태’는 ‘문재인 사태’였다 ? 91 여권이 정말 검찰 개혁을 원하기는 했던 건가? ? 95 검찰 개혁과 정치 개혁을 분리할 수 있는가? ? 97 왜 1960년대 미국 신좌파를 흉내내는가? ? 100 ‘진보적인 척’하는 게 ‘진보’는 아니다 ? 103 제3장 왜 ‘도덕적 우월감’이 진보를 죽이는가?: ‘민생 개혁’과 ‘민주화 운동’ 동일시 오류 386세대의 고유한 사고방식 ? 111 적이 선명한 ‘민주화 투쟁’과 민생의 차이 ? 114 왜 ‘싸가지 없는 진보’는 계속되는가? ? 119 ‘도덕적 면허 효과’로 인한 부도덕 ? 122 팬덤형 정의파들의 ‘내 멋대로 정의’ ? 125 ‘보수 공격’이 진보라고 우기는 직업적 선동가들 ? 127 진보와 보수는 도덕의 체계와 기준이 다르다 ? 130 ‘공정’에 대한 진보와 보수의 차이 ? 132 ‘미시적 공정’과 ‘거시적 공정’은 상충하는가? ? 135 20대에게 구조에 대한 연대 책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