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노동계급 형성의 기대감과 실망_11 제1부 노동과 계급 연구의 성과와 과제 1장 민주노조운동의 동학과 노동문제 연구의 추세 1. 들어가는 말 : 진보 학계와 민주노조운동의 만남_20 2. 노동운동 위기론과 노동운동 연구_23 3. 신경영전략과 노동과정·노동통제 연구_28 4. 노사정위·구조조정과 노동정책·노사관계 연구_34 5. 신자유주의 경제정책과 비정규직·여성 노동 연구_42 6. 맺음말_51 2장 마르크스주의 계급론의 과제 1. 구해근의 문제 제기_57 2. 구해근의 ‘모색’과 대안_59 3. 마르크스주의 계급론 ‘연구 프로그램’의 과제_63 제2부 노동계급 60년의 역사 3장 해방 60년 계급 구조 및 노동계급 구성 변화 1. 문제 제기_75 2. 연구 방법 및 자료_78 3. 계급 구조 변화_82 4. 노동계급의 계급 구성 변화_94 5. 맺음말_101 4장 해방 60년 노동계급 형성과 민주노조운동의 궤적 1. 들어가는 말_105 2. 노동계급 형성과 시기 구분_106 3. 해방공간 전평과 변혁적 노동운동_109 4. 독립 이후 대한노총-한국노총과 어용노조_118 5. 노동자 대투쟁 이후 개혁적 민주노조운동_128 6. 맺음말 : 노동계급 형성의 역사적 궤적과 과제_143 제3부 경제 위기와 노동의 전략 5장 대우자동차 처리 과정과 정부의 실패 1. 들어가는 말_156 2. 대우자동차 처리 과정의 전개_158 3. 매각 추진 과정과 정부의 실패_162 4. 정부 실패의 요인_177 5. 맺음말_187 6장 산업민주주의 결핍과 노동자 불만 1. 문제 제기_190 2. 기아자동차와 대우자동차의 비교_192 3. 대우자동차의 산업민주주의 현황_201 4. 맺음말 : 산업민주주의 결핍과 노동자 불만_217 7장 대우자동차 노동조합의 해외매각반대투쟁 1. 문제 제기_228 2. 대우자동차 처리 과정과 노동조합의 투쟁_231 3. 노동조합 투쟁 전략과 두 가지 논리_243 4. 맺음말 : 노동조합 투쟁과 딜레마_258 제4부 시장경제 모델과 노동계급의 계급의식 변화 8장 자유시장경제 모델로의 이행과 노무현 정권의 노동정책 1. 들어가는 말 : ‘기업하기 좋은 나라’ 대 ‘사회 통합적 노사관계’_269 2. 자유시장경제 모델과 ‘기업하기 좋은 나라’_272 3. 자유시장경제 모델과 ‘사회 통합적 노사관계’의 예정된 실패_282 4. 맺음말 : 자유시장경제 모델과 자본계급 지배 양식_299 9장 한국 노동계급의 계급의식과 보수화 1. 문제 제기_304 2. 노동계급의 계급의식과 보수화의 이론과 쟁점_306 3. 자료 및 경험적 검증 방향_318 4. 노동계급 보수화의 경험적 검증_323 5. 맺음말_330 10장 한국 사회의 계급과 문화 1. 들어가는 말_333 2. 계급과 문화의 이론적 쟁점과 분석 방법_335 3. 계급 간 문화적 차별성_347 4. 경제자본과 문화자본의 설명력_354 5. 노동계급 형성과 문화 관련성_361 6. 맺음말_366 11장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의 경험과 노동계급의 계급의식 1. 들어가는 말_371 2. 연구 과제와 연구 방법_373 3. 노동시장과 생산 현장 경험의 영향_380 4. 노동계급의 내적 이질성과 계급의식 분석_390 5. 맺음말_398 책을 마치며 다시 생각해 보는 노동계급 형성의 과제_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