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4 열린사회와 그 적들에 대한 전체적 개괄·9 제1부 열린사회와 그 적들 I·37 서론·37 기원과 운명의 신화·39 - 제1장 역사법칙주의와 운명의 신화·39 - 제2장 헤라클레이토스·42 - 제3장 플라톤의 형상 이론·45 플라톤의 기술 사회학·54 - 제4장 변화와 정지·54 - 제5장 자연과 관습·62 플라톤의 정치강령·74 - 제6장 전체주의적 정의·74 - 제7장 지도력의 원리·82 - 제8장 철인왕·89 - 제9장 탐미주의, 완전주의, 유토피아주의·98 열린사회에 대한 플라톤의 공격 배경·111 - 제10장 열린사회와 그 적들·111 제2부 열린사회와 그 적들 II·121 예언 철학의 등장·121 - 제1장 헤겔철학의 아리스토텔레스적 뿌리·121 - 제2장 헤겔과 새로운 부족주의·127 마르크스의 방법·139 - 제3장 마르크스의 사회학적 결정론·139 - 제4장 사회학의 자율성·142 - 제5장 경제적 역사법칙주의·145 - 제6장 계 급·151 - 제7장 법률제도와 사회체제·153 마르크스의 예언·161 - 제8장 사회주의의 도래·161 - 제9장 사회혁명·166 - 제10장 자본주의와 그 운명·173 - 제11장 예언에 대한 평가·184 마르크스의 윤리·186 - 제12장 역사법칙주의의 도덕론·186 그 여파들·190 - 제13장 지식 사회학·190 - 제14장 예언 철학과 이성에 대한 반역·198 결론·207 - 제15장 역사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