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어른은 언제 행복해져요? 털어놓기도 담아놓기도 힘든 마음속 문제들, 논리적이지도 않고 남한테 공감받을 수도 없는 이상한 마음들……. 너무 힘든데 왜 힘든지, 어떻게 힘든지 표현하기도 막막한 그런 상황들. 문득 떠오르는 ‘사는 게 너무 힘들다.’ ‘이렇게 살아서 뭐해.’라는 생각들……. 세상살이 수십 년차, 어차피 내 편은 나뿐이고 힐링은 셀프라는 교훈을 획득한 지도 몇 년이 지났건만 나아지는 건 없다. 사람은 언제나 힘들고, 1년 후 내가 어디서 무얼 하고 있을지 가늠도 되지 않는다. ‘일이 있는 게 어디야.’ 일이 있을 때는 이 팍팍한 세상에서 그래도 할 일이 있다는 것에 고마워하려 하고, 일이 없을 때는 ‘쉴 수 있으니 얼마나 좋아.’라고 생각해보려 하지만 이러나 저러나 몸과 마음이 상해가는 걸 느낀다. 세상 사는 건 원래 쉽지 않은 거라며 스스로를 달래보지만 어느 순간 찾아오는 한계. 지하철 창문 너머로 보이는 한강이 달리 보이고, 우울증을 치료하는 게 인생의 목표인 병원 생활을 흠모하기 시작하는 나를 발견한다. 스스로도 어이가 없다. 바보 같은 생각이라고, 멀쩡하게 살면서 이런 생각하면 나쁜 거라고 되뇌어보지만, 마음은 쉽게 펴지지 않는다. 우리 지금, 안 괜찮아요 이런 일이 내 마음속에서만 일어나는 건 아니다. 부쩍 늘어난 정신과 상담, 흔히 듣는 공황장애, 인터넷에 넘쳐나는 ‘죽고 싶다’는 게시물들. 자세히 보면 현재를 살아가는 누구에게서든 발견할 수 있는 괴로움이다. 스스로는 어찌할 수 없는 이런 문제 때문에 어렵게 만든 일자리를 놓치기도 하고, 노력 부족, 의지 박약에 사회 부적응자 소리도 들어야 한다. 마음이 힘들다고 하면 복에 겨워 그런다는 속 터지는 충고를 들어야 한다. 그런데 과연 이게 ‘내’ 잘못인 걸까? 수십 년 동안 정신과 의사로 일해온 이즈미야 간지는 최근 이런 고민을 가지고 찾아오는 의뢰인이 부쩍 늘었다고 말한다. 그는 ‘자신이 자신다울 수 없는’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할수록 이러한 문제가 심해진다고 말한다. 우리 모두는 다른 사람과는 다른 ‘뿔’을 가지고 태어났다. 뿔이란 우리가 우리 자신임을 보여주는 상징이자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보물로, 태생적 자질을 말한다. 뿔은 두드러지기 마련이라 사람들은 가장 먼저 그 뿔에 관심을 갖고 화제로 삼는다. 동물로서의 습성 때문일까? 집단에서는 뿔 때문에 꼬투리가 잡히거나 놀림을 당하는 등 주위의 먹잇감이 되기도 한다. 그런 일이 반복되다 보면 어느 사이엔가 ‘이 뿔이 있어 살기 고단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생겨난다. 자신이 자신다울 수 있는 것, 그 중심에는 뿔이 있다. 그런데 그것을 스스로 증오하고 장애물로 생각해 감추며 살아가면 자연히 삶 자체가 빛바래고 무의미하게 느껴지기 시작한다. 살아갈 에너지가 고갈되어 더는 삶을 꾸려나가지 못하게 된다. _《뿔을 가지고 살 권리》중에서 ‘나다움’을 회복하는 행복 수업 10강 《뿔을 가지고 살 권리》는 카운슬러나 의료직을 목표로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던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위해 새로 쓴 책이다. 심도 깊은 이야기지만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쉬운 예시와 그림을 덧붙여 이해를 도왔다. 왜인지 일상에서 무료함과 억울함을 느끼며 살아갈 의욕을 잃은 보통 사람들부터 몇 년이나 정신과 상담을 받던 환자들까지, 내가 힘든 진짜 이유를 찾아 설명해주는 이 책은 일본에서 10년 째 심리 분야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마음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실마리를 찾는 사람이라면 치료사, 환자, 또 어떤 다른 입장에 있는 사람일지라도 분명 힌트를 얻게 될 것이다. 정말로 인생에 변화가 필요하신 분들께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