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막장드라마와 아리스토텔레스 ‘깨달음’의 두 의미 「피에타」 오이디푸스와 출생의 비밀 한국의 막장드라마 아리스토텔레스인줄도 모르고 아리스토텔레스를 소비해 온 한국의 시청자들 (역자 해설)『시학』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한 9개의 주제별 해설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었던 아리스토텔레스 art에 대하여 『시학』과 미메시스 「올드보이」, 「글레디에이터」 그리고 하마시아 주인공의 미화와 과장 카타르시스와 소격이론 「죽은 시인의 사회」와 처음, 중간, 끝 『안티고네』와 파토스 1) 파토스와 에토스의 현대적 의미 2) 아리스토텔레스의 파토스와 에토스 3) 헤겔의 ‘파토스’ 4) 『안티고네』 5) 헤겔의 파토스는 합리성이며 자유의지 6) 파토스의 다면성 7) 정념이란 단어의 고고학적 의미 프레임에 대한 한 고찰 핵심 용어들의 그리스어와 영어 (본문) 제1장 모방의 수단에 따라 나뉘는 예술 장르 제2장 비극은 보통보다 잘난 사람, 희극은 보통보다 못난 사람을 그리는 것 제3장 코미디의 기원 제4장 모방과 깨달음은 인간의 원초적 본능 제5장 비극은 하루 동안에 일어난 일을 다뤄야 한다 제6장 카타르시스, 반전, 깨달음 제7장 처음, 중간, 끝 그리고 적당한 크기 제8장 단일한 줄거리, 탄탄한 구조 제9장 개연성, 필연성, 두려움, 연민 제10장 단순한 플롯, 복합적 플롯 제11장 깨달음은 무지에서 앎으로의 전환, 플롯의 세 번째 요소는 고통의 장면 제12장 프롤로그, 에피소드, 퇴장 제13장 순간적인 판단착오로 비극적인 운명을 맞는 주인공 제14장 비극적 사건은 가족처럼 가까운 사이에서 일어날 때 가장 효과가 좋다 제15장 인물의 정형화 제16장 깨달음의 여러 수법들 제17장 핵심적 플롯과 에피소드 제18장 플롯의 얽힘과 풀림 제19장 고대의 화용론(話用論)? 제20장 아리스토텔레스는 언어학의 아버지! 제21장 은유(메타포)와 유비(아날로지) - ‘노년기는 인생의 황혼’은 아날로지 제22장 어법의 종류 제23장 시와 역사의 차이 - 단일한 줄거리: 단일한 시기 제24장 잘못된 추론 제25장 어떤 일이 개연성에 반하여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 또한 개연성이다 제26장 비극은 최고의 예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