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Ⅰ .4 추천의 글 Ⅱ .6 책머리에 : 빅데이터와 사물인터넷 .8 CHAPTER 1 조직은 어떻게 스마트해지는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20연승 .17 | 타깃이 ‘임신부’를 발견했다 .19 | 인류의 우주관을 바꿔놓은 데이터 .23 | 디지털은 지문을 남긴다 .26 |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 .28 |남성은 치마만 두르면 좋아한다 .32 |연봉 협상을 잘하는 법 .35 | 소시오메트릭 배지의 탄생 .38 | 빅데이터는 빅브라더인가 .41 CHAPTER 2 기업의 탄생 왜 인간은 무리를 지어 사는가 .51 | ‘던바의 수’와 150명 .54 | 집단이냐 조직이냐 .59 | 로마는 어떻게 제국이 되었는가 .62 | 프레더릭 테일러의 ‘테일러리즘’ .67 | 새로운 정보, 새로운 의사소통 .73 | 기업이 직원을 평가하는 방법 .79 | 직원들에 대한 보상은 적절한가 .87 | 비공식적인 절차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93 | 소셜 네트워크의 탄생 .95 CHAPTER 3 왜 기업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가 정수기를 어디에 둘까 .107 | 왜 마이애미 히트는 댈러스 매버릭스에 패했는가 .112 | 응집력이 강한 네트워크 .117 | 왜 리서치인모션은 몰락했는가 .121 | 약한 연결망의 힘 .126 | ‘바나나 타임’이란 무엇인가 .130 | 왜 콜센터의 이직률은 높은가 .135 |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행동 역학 실험 .141 |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148 | 휴식 시간이 생산성을 높인다 .154 CHAPTER 4 기업의 생산성을 어떻게 끌어올릴까 재택근무와 가상조직 .159 | IBM만큼 글로벌한 기업은 없다 .162 | 어느 팀의 생산성이 높을까 .166 | 구글 캠퍼스와 페이스북 캠퍼스 .169 | ESPN의 개방형 좌석 제도 .174 | 거리가 가까우면 마음도 가까워질까 .178 | 책상의 길이와 직원들의 의사소통 .182 | 직원들의 거리를 최소화하라 .184 CHAPTER 5 누가 창의적인 인재인가 왜 GE는 직원들에게 사내 교육을 시키는가 .191 | 직원들의 생산성을 높이는 방법 .195 | 지식을 공유하라 .198 | 아마존의 파괴적인 혁신 .203 |〈사우스파크〉의 독창적인 스토리 .207 | ‘만화 전쟁’의 승자는 누구인가 .210 | 직원들의 창의성을 어떻게 이끌어낼까 .215 | 해커톤형 인재와 다빈치형 인재 .219 CHAPTER 6 기업에서 질병을 퇴치하는 법 참을 것인가, 병가를 낼 것인가 .227 | 질병은 생산성에 영향을 준다 .230 | 질병은 어떻게 전염되는가 .235 | 유행병이 돌 때 우리가 해야 할 일 .241 CHAPTER 7 구글은 어떻게 최고의 기업이 되었는가 기업의 인수합병 딜레마 .247 | 왜 이베이는 스카이프를 인수했는가 .249 | 루브 골드버그 장치 만들기 .254 | 구글의 빅데이터 전략 .260 CHAPTER 8 기업은 어떻게 네트워크를 만드는가 보잉 787 드림라이너의 복잡한 시스템 .265 | 왜 협업과 균형이 필요한가 .269 | 왜 매사추세츠 교통국은 빚더미에 앉게 되었는가 .274 | 왜 의사소통이 중요한가 .278 | 누가 더 일을 잘할까 .281 | 세렌디피티의 힘 .286 CHAPTER 9 빅데이터가 기업의 미래를 결정한다 빅데이터의 혁신적인 힘 .293 | 프라이버시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 .296 | 인간 행동 분석 시스템 .299 | 기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원동력 .303 | 기업은 어떻게 직원들의 협력을 이끌어내는가 .306 | 빅데이터가 기업을 경영하다 .311 | 직원들이 친밀하게 의사소통하는 법 .317 | 기업의 문화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 .322 | 기업은 어떻게 강해지는가 .325 주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