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 아저씨의 오두막

해리엣 비처 스토 · 소설
392p
구매 가능한 곳
별점 그래프
평균3.6(428명)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428명)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63권. 미국 국민들의 양심에 호소하여 남북전쟁을 촉발시킨 항의 소설로, 노예무역으로 팔려온 아프리카 흑인들이 미국 땅에서 겪는 참상을 작가 자신의 실제 경험에 비추어 세세하게 묘사한다. 직설적이고 예리한 비판으로 노예제의 반문명성을 공격하는 한편, 노예제라는 것이 결국 하나의 거대한 농담임을 유머라는 문학적 장치를 이용해 마음껏 조롱한다. 1852년 출간 당시 북부에서는 뜨거운 찬사를, 남부에서는 격렬한 비난을 받으며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미국과 유럽에서 도합 300만 부 이상이 팔리면서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지난 160년 동안 32개 국어로 번역되어 세계 곳곳의 독자들에게 감동과 공분을 불러일으킨 이 소설은 그 강렬한 주제 의식뿐만 아니라 소설로서의 매력을 여전히 잃지 않으며 오늘날 미국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우리나라에서는 아동문학으로 잘못 인식되면서 그 주제와 가치가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했던 면이 없지 않다. 미국에서는 모든 고등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읽게 할 만큼 문학적 가치와 메시지가 묵직한 작품이다.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에서 선보이는 이번 번역본은 <톰 아저씨의 오두막>이 미국에서 정전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한 노턴 비평판을 완역하였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별점 그래프
평균3.6(428명)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저자/역자

코멘트

10+

목차

작가 서문 제1권 1장 어떤 인정 많은 남자가 소개되는 장 2장 어머니 3장 남편이자 아버지 4장 톰 아저씨네 오두막의 저녁 풍경 5장 살아 있는 물건이 다른 주인에게 팔려갈 때의 느낌 6장 발견 7장 어머니의 필사적인 투쟁 8장 엘리자의 도망 9장 인간적인 상원의원 10장 물건으로 운반되다 11장 물건의 물건답지 않은 생각 12장 합법적 거래의 선별된 사례 13장 퀘이커교도의 정착촌 14장 에반젤린 15장 톰의 새 주인과 여러 가지 일들 16장 톰의 안주인과 그녀의 의견들 17장 자유인의 정당방위 18장 미스 오필리어의 경험과 의견 1 제2권 19장 미스 오필리어의 경험과 의견 2 20장 톱시 21장 켄터키 22장 풀은 마르고 꽃은 시든다 23장 헨리크 24장 전조 25장 어린 에반젤리스트 26장 죽음 27장‘이것이 지상의 마지막 순간’ 28장 재회 29장 보호받지 못하는 사람들 30장 노예창고 31장 농장으로 가는 배 안에서 32장 어두운 곳 33장 캐시 34장 쿼드룬 여자 이야기 35장 징후 36장 에멀린과 캐시 37장 자유 38장 승리 39장 작전 40장 순교자 41장 젊은 주인 42장 그럴듯한 귀신 이야기 43장 결과 44장 해방자 45장 맺는말 해설 | 세계사를 바꾼 가장 고귀한 소설 해리엇 비처 스토 연보

출판사 제공 책 소개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하느님과 인간의 사랑이 물처럼 흐르는 가장 고귀한 형태의 예술 작품이다. _톨스토이 모든 이성을 자극하고 모든 감성에 영감을 주는 책이다. 작가에게 큰 빚을 진 느낌이다. _찰스 디킨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도덕적 전쟁을 알리는 함성이다. 여기에 담긴 사랑과 따뜻함, 인도주의는 백 년이 지나도 이 작품을 우리 마음속에 살아 있게 한다. _랭스턴 휴스 글도 제대로 읽지 못하는 톰 아저씨가 평생 학문을 연구해온 나보다 더 깊이 있게 신의 뜻을 이해하고 또 그것을 실천한 것을 보고, 나는 깊은 부끄러움을 느꼈다. _하인리히 하이네 살아 있는 묘사로 감동을 주는 것이 예술의 한 가지 원칙이라고 했을 때, 흥미진진한 사건들을 이보다 더 생생하고 감동적으로 묘사해놓은 완벽한 예술 작품을 또 찾을 수 있을까! _조르주 상드 『톰 아저씨의 오두막』에는 어빙이나 호손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언어의 정치(精緻)함도, 제임스 쿠퍼의 모험 로맨스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풍경 묘사도, 허먼 멜빌의 모험담에서 볼 수 있는 놀라울 만큼 감각적인 요소도 없다. 그러나 이런 인도주의나 인간의 철학적 통찰을 다룬 사회소설류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광범위하고 더 깊고 더 고결하고 더 성스러운 공명(共鳴)이 있다. _찰스 브릭스 세계사를 바꾼 분노의 휴머니즘 남북전쟁을 촉발시킨 위대한 항의 소설 미국 국민들의 양심에 호소하여 남북전쟁을 촉발시킨 항의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노예무역으로 팔려온 아프리카 흑인들이 미국 땅에서 겪는 참상을 작가 자신의 실제 경험에 비추어 세세하게 묘사한다. 직설적이고 예리한 비판으로 노예제의 반문명성을 공격하는 한편, 노예제라는 것이 결국 하나의 거대한 농담임을 유머라는 문학적 장치를 이용해 마음껏 조롱한다. 1852년 출간 당시 북부에서는 뜨거운 찬사를, 남부에서는 격렬한 비난을 받으며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미국과 유럽에서 도합 300만 부 이상이 팔리면서 성경 다음으로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지난 160년 동안 32개 국어로 번역되어 세계 곳곳의 독자들에게 감동과 공분을 불러일으킨 이 소설은 그 강렬한 주제 의식뿐만 아니라 소설로서의 매력을 여전히 잃지 않으며 오늘날 미국 문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업적 중 하나로 꼽힌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우리나라에서는 아동문학으로 잘못 인식되면서 그 주제와 가치가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했던 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이 작품은 눈을 뗄 수 없게 하는 흥미로운 스토리와 강렬한 주제, 오밀조밀한 구성 등 소설로서의 매력도 단연 뛰어나지만, 미국에서는 모든 고등학교에서 의무적으로 읽게 할 만큼 문학적 가치와 메시지가 묵직한 작품이다.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에서 선보이는 이번 번역본은 『톰 아저씨의 오두막』이 미국에서 정전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일조한 노턴 비평판을 완역한 것으로, 이 작품이 아동문학이 아닌 본격문학으로 읽히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 가장 사악하고 거대한 농담, 노예제를 향한 지성과 양심의 절규 “나는 지금도 수천 명의 가슴을 찢어놓고, 수천 세대의 가족을 이산시키고, 온순하고 힘없는 종족을 광기와 절망으로 내모는 잔인한 제도에 대하여 이 책에서 그저 희미하게 그림자 정도만 묘사했을 뿐이다. 미국 법률의 그늘 아내, 그리스도의 십자가 그늘 아래, 우리나라의 연안에서 시시각각 벌어지는 저 끔찍하고 살벌한 현실에 필적할 만한 비극적 작품은 쓸 수도 없거니와 말할 수도 구상할 수도 없다.” _해리엇 비처 스토 출간되자마자 미국 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해리엇 비처 스토라는 한 여인의 양심에서 출발한다. 1850년에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도망노예법’은 스토 여사가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쓰게 된 계기가 되었다. 노예의 도망을 도와준 사람을 처벌할 수 있도록 한 이 법 때문에 노예제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던 북부 사람들은 그 해악을 구체적으로 알게 되었다. 스토 여사는 젊은 시절 노예였으나 캐나다로 도주 후 자유인이 되어 북부에서 활동하던 흑인 목사 조시아 헨슨을 모델로 ‘톰 아저씨’라는 인물을 만들어내고 『톰 아저씨의 오두막』을 집필하기 시작한다. 작가는 서문에서 이 소설의 의미를 분명하게 명시해놓는다. “이 소설의 주된 목적은 우리 미국에서 살고 있는 아프리카 종족에 대한 동정심과 이해심을 일깨우려는 것이다. 그들에게 가해지는 학대와 그들의 슬픔을 묘사함으로써, 현재의 제도가 얼마나 잔인하고 불공정한가를 보여주려는 것이다.” 소설은 작가 자신이 목격하거나 경험한 사건들을 대거 인용하면서 야만적인 노예제도를 둘러싼 당시의 실상을 생생하게 증언했고 그 영향은 실로 엄청났다. 학교의 교육 현장에서, 백인과 흑인 사이에서, 진보주의자와 보수주의자 사이에서,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사이에서 이 소설에 대한 논쟁은 끊이지 않았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정치인들뿐만 아니라 남부와 북부의 종교지도자들까지 둘로 갈라놓았고, 북부의 자유주와 남부의 노예주 사이의 갈등을 부채질하면서 급기야 남북전쟁의 간접적 원인을 제공하였다. 1861년 마침내 남북전쟁이 발발하자 스토 여사는 북부의 편에 서서 열성적인 유세활동을 펼쳤으며, 그녀의 아들 역시 북군 대위로 참전했다. 1862년 링컨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스토 여사를 만나 “당신이 이 엄청난 전쟁을 촉발시킨 책을 쓴 바로 그 조그마한 여인이로군요?”라고 했다는 에피소드는 유명하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1

비슷한 작품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