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책머리에 | 길을 잃은 아들들의 시대: 한국 남성성의 각본 다시 쓰기 • 7 1장 기로에 선 아들들: 불안과 공허의 식민지를 살아가는 법 • 21 2장 반공전에 나선 용사들: 남한 우익의 계보 • 45 3장 형제들의 공동체: 남성동성사회와 좌우익 청년단체 • 71 4장 가족 재건 프로젝트: 한국전쟁이 만든 전선의 젠더 • 97 5장 무대 위의 남성성: 남장여자가 만든 세계 • 131 6장 전후 문학의 ‘퀴어’한 육체들: 해체되는 남성성 신화 • 165 7장 냉전체제 속 여성혐오: 너무 많이 말하거나, 말하지 않거나 • 193 8장 성별이분법의 틈새들: 병역법과 젠더의 위계 • 235 9장 ‘남자 없는 사회’의 남성들: 모험을 허락하지 않는 모험 서사 • 257 10장 슈미즈를 입은 남자: 여장남자 코미디 영화의 정치적 불/가능성 • 291 11장 상경과 귀향의 젠더정치학: 남성의 얼굴을 한 민중 • 325 발표 지면 • 363 연표 •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