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철학

몸문화연구소 · 인문학
24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3.9
평균 별점
(4명)
코멘트
더보기

“몸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윤리적인 질문, ‘나는 무엇인가’를 묻는 정체성의 문제와도 직결되어 있다. 우리는 몸인가, 아니면 몸을 가지고 있는가? 우리는 몸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몸은 권력일 수도 있고 삶의 의지이거나 욕망, 생산력일 수도 있다. 그리고 능동적인 것이거나 수동적인 것, 혹은 주체이거나 타자일 수도 있다. 이 책은 몸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역사를 담고 있다. 독자는 시대에 따라서 몸이 다양하게 표상되는 파노라마를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철학자 플라톤으로부터 시작해서 데카르트와 스피노자라는 근대 철학을 경유하여 메를로-퐁티와 푸코, 들뢰즈 등의 순서로 몸의 철학이 전개된다. 그리고 최종 목적지에는 이리가레와 해러웨이라는 페미니스트 철학이 기다리고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서문 1. 플라톤의 영혼과 몸: 몸 없는 영혼이 가능한가 _ 김종갑 2. 데카르트와 몸을 가진 정신 _ 이재환 3. 스피노자의 철학에서 정신과 육체의 통일성 _ 이근세 4. 몸, 무의미에서 의미로: 메를로-퐁티의 몸 이론을 중심으로 _ 정지은 5. 푸코: ‘법이 없는 성, 왕이 없는 권력’으로 몸의 정치성을 상상하라 _ 도승연 6. 신체는 생성이다: 들뢰즈와 과타리의 신체 개념 _ 이찬웅 7. 뤼스 이리가레: 몸, 성차로 일렁이는 존재의 지평 _ 윤지영 8. 몸의 물질성: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다시 읽기 _ 임소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몸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흐름,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표상되는 몸의 파노라마 몸이 당연하지 않은 시대, 가지고 태어난 몸을 출발점으로 몸을 바꾸고 교정하며 업그레이드하면서 살아가는 시대에, 다시 근본적인 질문을 하게 된다. 몸이란 무엇일까? 과거의 그 어느 때보다도 인체에 관한 우리의 지식은 풍부해졌지만, ‘몸이란 무엇일까’라는 철학적인 질문에 대답할 수 있는 책은 여전히 드물다. “몸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윤리적인 질문, ‘나는 무엇인가’를 묻는 정체성의 문제와도 직결되어 있다. 우리는 몸인가, 아니면 몸을 가지고 있는가? 우리는 몸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몸은 권력일 수도 있고 삶의 의지이거나 욕망, 생산력일 수도 있다. 그리고 능동적인 것이거나 수동적인 것, 혹은 주체이거나 타자일 수도 있다. 이 책은 몸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역사를 담고 있다. 독자는 시대에 따라서 몸이 다양하게 표상되는 파노라마를 목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대 철학자 플라톤으로부터 시작해서 데카르트와 스피노자라는 근대 철학을 경유하여 메를로-퐁티와 푸코, 들뢰즈 등의 순서로 몸의 철학이 전개된다. 그리고 최종 목적지에는 이리가레와 해러웨이라는 페미니스트 철학이 기다리고 있다. 저자 소개 김종갑: 건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에서 영문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1995년부터 건국대학교에 재직 중이다. 2007년에 몸문화연구소를 설립하고 몸과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다. 『근대적 몸과 탈근대적 증상』, 『성과 인간에 관한 책』, 『지구에는 포스트휴먼이 산다』 등의 저서와 공저가 있다. 도승연: 광운대학교 인제니움학부대학 교수. 철학과 예술, 미학과 윤리의 소통적 사유에 관심이 있으며, 최근에는 인간과 비인간 존재자의 관계론적 세계관에 바탕을 두고 정체성으로서의 패션, 스마트 도시의 디지털 시민성을 연구하고 있다. 윤지영: 창원대학교 철학과 부교수. 페미니스트 철학자. 프랑스 파리 소르본느대학교에서 철학 학사와 석사를, 프랑스 팡테옹-소르본느대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SSCI급 국제 저널과 KCI급 국내 전문 저널에 42편의 영어, 불어, 한국어 논문을 게재하였다. 단독 저서로 『지워지지 않는 페미니즘』, 공저로 『탈코르셋 선언』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자신을 방어하기』가 있다. 이근세: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주요 연구 분야는 서양 근대 철학, 프랑스 철학, 동서 문화 철학이다. 『효율성, 문명의 편견』, 『철학의 물음들』을 썼고, 『스피노자 서간집』, 『탈합치』 등을 번역했다. 이재환: 목포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 대학원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서양 근대 철학, 현대 프랑스 철학 등에 관심을 두고 공부한 후 데카르트의 윤리학에 관한 논문으로 서울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찬웅: 이화여자대학교 인문과학원 교수. 서울대학교에서 전기공학부와 철학과 대학원 석사를 마치고, 프랑스 리옹2대학에서 영화학 석사, 리옹고등사범학교에서 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들뢰즈를 중심으로 한 현대 프랑스 철학, 그리고 철학-과학-예술의 관계에 관심을 두고 있다. 『들뢰즈, 괴물의 사유』를 썼고, 『주름, 라이프니츠와 바로크』 등을 번역했다. 임소연: 과학기술학 연구자. 숙명여자대학교 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인간향상기술과 몸, 신유물론 페미니즘, 과학기술과 젠더 등을 주제로 강의와 연구를 해오고 있다. Medical Anthropology, Social Studies of Science,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등에 논문을 발표했다. 단독 저서로 『과학기술의 시대 사이보그로 살아가기』, 공저로 『21세기 사상의 최전선』, 『포스트휴머니즘과 문명의 전환』 등이 있다. 정지은: 홍익대학교 교양과 조교수.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 미학과 대학원에서 공부했다. 프랑스 부르고뉴대학교에서 철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학위 연구 주제는 ‘메를로-퐁티의 표현과 존재’이다. 여러 대학교와 사단법인 철학아카데미에서 강의했다. 『동물들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 『철학자 오이디푸스』, 『유한성 이후』를 번역했고, 『헬조선에는 정신분석』, 『폭력의 얼굴들』, 『감정 있습니까』, 『기억과 몸』에 필자로 참여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1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