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녀

소영현 · 사회과학
27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9(13명)
0.5
4
5
평가하기
3.9
평균 별점
(13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광고]스탠드오일 보드배너_1안

2003년 비평활동을 시작한 이래 여성과 노동자, 하위자에 대해 꾸준히 의미 있는 글을 써온 소영현이 이번에는 ‘하녀’에 주목한다. 신문기사부터 문학작품까지 심층 아카이빙을 통해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이후까지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며 존재해온 하녀를 다각도로 조망하고 그들의 면면을 연대기처럼 읽어낸다. 가부장제와 계층 문제뿐 아니라 섹슈얼리티, 근대화, 감정노동 및 그림자노동까지 꼼꼼히 살펴 그동안 배제되고 낙인 찍혀온 하녀의 존재를 제대로 마주보게 하고 21세기에도 또다른 이름으로 계속되는 ‘하녀’의 삶을 밝힌다. 오늘날 한국사회에도 하녀는 현존한다. 부와 가난은 대물림되고 자본의 힘이 계급 위계와 결합해 새로운 신분체계가 구축되어간다. 베이비시터, 요양보호사, 등하원도우미 등 가사노동과 돌봄노동, 간병노동을 도맡은 이들은 봉건적 신분제와 근대 계급사회의 최하층에 놓인 존재였던 하녀의 변주일 뿐이다. 케케묵은 구시대의 유물이 아닌, 황금만능주의 시대에 오늘도 “네네, 고객님”을 연발하고 직업적 웃음을 짓는 우리 모두가 누군가의 하녀일지도 모른다. 소영현은 비평가이자 사회의 일원으로서, 새로운 사회의 가능성을 가늠해보려 ‘하녀’라는 주제를 파고들었다. 진지한 사유와 탄탄한 문장, 그리고 꼼꼼한 아카이빙을 통해 우리가 미처 몰랐던, 하녀의 본모습을 보여준다.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profile.name}}의 사진

왓챠 개별 구매

별점 그래프
평균 3.9(13명)
0.5
4
5

실사판 예약 구매 오픈 ☁️

~7/15까지, 단 일주일 간 누리는 더블 혜택!

{{profile.name}}의 사진

왓챠 개별 구매

저자/역자

코멘트

1

    목차

    프롤로그. 하녀, 이름 없는 여자들의 삶 1부. 그녀들은 누구인가: 하녀들의...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지금, 왜 ‘하녀’인가? 젠더화된 빈곤, 배제와 낙인의 문법 21세기에도 하녀의 삶은...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5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