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서문 iii
서 문 v
감사의 말 viii
기호 및 축약어 xi
제1장 도입 1
1.1 화용론이란 무엇인가? 3
1.1.1 정의 3
1.1.2 화용론의 간략사 3
1.1.3 화용론에서 두 가지 주요 흐름: 앵글로 아메리칸 학파 대 유럽 대륙 학파 5
1.2 화용론은 왜 필요한가? 7
1.2.1 언어학적 미결정성 7
1.2.2 의미론과 통사론 간소화 9
1.3 의미론과 화용론의 몇 가지 기본 개념들 13
1.3.1 문장, 발화, 명제 13
1.3.2 문맥 16
1.3.3 진리치, 진리조건, 함의 18
1.4 이 책의 구성 21
I 부: 화용론의 중심 주제들
제2장 함축 27
2.1 대화함축에 관한 그라이스 고전 이론 29
2.1.1 협력의 원리와 대화 격률들 30
2.1.2 화자와 격률들 간의 관계 32
2.1.3 준수된 대화함축과 무시된 대화함축 33
2.1.4 일반 대화함축 대 특정 대화함축 38
2.1.5 대화함축의 속성들 39
2.2 대화함축에 관한 두 가지 신 그라이스식의 이론 44
2.2.1 혼 시스템 46
2.2.2 레빈슨 체계 49
2.3 고정함축 67
2.3.1 고정함축이란? 67
2.3.2 고정함축의 속성들 69
2.4 요약 71
제3장 전제 79
3.1 전제란? 81
3.2 전제의 속성 84
3.2.1 부정 하에서의 일관성 84
3.2.2 취소 가능성 85
3.2.3 투사문제 91
3.3 분석 94
3.3.1 여과-만족 분석 95
3.3.2 취소 분석 101
3.3.3 수용 분석 106
3.4 요약 111
제4장 화행 115
4.1 수행문 대 진술문 117
4.1.1 수행문/진술문의 이분법 117
4.1.2 수행가설 122
4.2 수행문에 대한 오스틴의 적정 조건들 123
4.3 발화 행위, 발화수반 행위, 발화영향 행위 125
4.4 화행에 대한 써얼의 적정 조건들 130
4.5 써얼의 화행 유형론 132
4.6 간접화행 136
4.6.1 간접화행은 무엇인가? 136
4.6.2 간접화행은 어떻게 분석되는가? 140
4.6.3 왜 간접화행을 사용하는가? 공손성에 대한 몇몇 견해들 143
4.7 화행과 문화 149
4.7.1 범문화적 변이 149
4.7.2 중간언어 변이 156
4.8 요약 158
제5장 직 시 165
5.1 기본 개념들 168
5.1.1 직시 표현 대 비직시 표현 168
5.1.2 직시 표현의 몸짓 용법 대 기호 용법 169
5.1.3 직시 중심과 직시 투사 170
5.2 직시의 기본 범주들 171
5.2.1 인칭 직시 171
5.2.2 시간 직시 180
5.2.3 공간 직시 187
5.3 직시의 다른 범주들 204
5.3.1 사회 직시 204
5.3.2 담화 직시 214
5.4 요약 217
II 부: 화용론과 그 경계면들
제6장 화용론과 인지: 적합성 이론 225
6.1 적합성 228
6.1.1 적합성에 관한 인지적 원리 228
6.1.2 적합성에 관한 의사소통적 원리 231
6.2 외축, 함축, 개념적 의미 대 절차적 의미 234
6.2.1 그라이스: 말해진 것 대 함축된 것 234
6.2.2 외축 235
6.2.3 함축 243
6.2.4 개념적 의미 대 절차적 의미 246
6.3 포더의 ‘중앙 처리’에서부터 ‘마음 이론’의 하위모듈까지 247
6.3.1 인지적 모듈방식에 대한 포더의 이론 247
6.3.2 스퍼버와 윌슨의 초기 입장: 포더식의 ‘중앙 처리’로서의 화용론 249
6.3.3 스퍼버와 윌슨의 현재 입장: ‘마음 이론’의 하위 모듈로서의 화용론 249
6.4 적합성 이론과 그라이스의 고전이론/신이론과 비교 250
6.5 요약 255
제7장 화용론과 의미론 259
7.1 축소주의 대 보완주의 261
7.2 의미론과 화용론 구분하기 263
7.2.1 진리 조건적 의미 대 비진리 조건적 의미 263
7.2.2 관례적 의미 대 비관례적 의미 264
7.2.3 문맥 독립성 대 문맥 의존성 266
7.3 말해진 것으로의 화용론적 개입과 의미론-화용론 경계면 267
7.3.1 그라이스: 말해진 것 대 함축된 것에 대한 재고 268
7.3.2 적합성 이론가들: 외축 271
7.3.3 르까나띠: 화용론상 강화된 말해진 것 272
7.3.4 바흐: 대화 내축 276
7.3.5 외축/화용론상 강화된 말해진 것/내축 등이 함축과 구분될 수 있는가? 279
7.3.6 레빈슨: 대화함축 286
7.3.7 다섯 가지 분석들의 비교 293
7.4 요약 299
제8장 화용론과 통사론 303
8.1 언어와 언어학에 대한 촘스키의 견해 306
8.2 촘스키의 결속 이론 307
8.3 촘스키의 결속 이론에 대한 문제점 311
8.3.1 결속조건 A 311
8.3.2 결속조건 B 313
8.3.3 대용어와 대명사류 간의 상보적 관계 314
8.3.4 결속조건 C 318
8.4 대용어에 대한 신그라이스식 수정 화용 이론 319
8.4.1 대용현상의 일반적 패턴 321
8.4.2 대용현상에 대한 신그라이스식 수정 화용이론의 장치들 322
8.4.3 결속 패턴 327
8.4.4 결속 패턴을 넘어서 329
8.4.5 인식성과 강조성/대조성 331
8.5 이론상의 의의 335
8.6 요약 339
용어집 345
참고문헌 352
연습문제 정답 391
언어명 영한 대조 목록 406
색인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