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https://an2-img.amz.wtchn.net/image/v2/30n2nHWSAw51zVsHKabnBg.png?jwt=ZXlKaGJHY2lPaUpJVXpJMU5pSjkuZXlKd0lqb2lMM1l5TDNOMGIzSmxMM0J5YjIxdmRHbHZiaTh4TlRBeU9USTRPRE14T1RJek9EUTNOU0o5LnJhWnI0MTlmU3o2TFBzZVVyemhLQksxRjdUZG1GMkZMYkJiWWhYVWR1cmM=)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https://an2-img.amz.wtchn.net/image/v2/eG_9e_QNuoozo-T-wRT1vw.png?jwt=ZXlKaGJHY2lPaUpJVXpJMU5pSjkuZXlKd0lqb2lMM1l5TDNOMGIzSmxMM0J5YjIxdmRHbHZiaTh4TURReE56ZzBNemd6TlRFM09UUTVNU0o5Lk5oMmExaFA3U3JLeVVpZWdRbl9ET0NjSzRQMVczWExMV2RDVUR6eFVRcU0=)
1977년 '정든 유곽에서'를 발표하며 등단한 이성복 시인의 시집. 1976년에서 1985년 사이에 씌어진 미간행 시 150편을 묶은 <어둠 속의 시>는,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1980), 두번째 시집 <남해 금산>(1986)과 같은 시기에 태어났다. 문학평론가 김현이 말한 이성복의 '풍경'이 처음 자리잡은 당시를, 시인은 그의 정신적 성장의 '부름켜'로 생각한다. 이 시절 그는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은 비정상의 도시에서 날 선 언어로 선열한 아픔을 토해냈다. 그는 곤핍한 현실 앞에서 눈을 감는 대신 썩어 문드러져 가는 상처를 상처 그대로 느끼며 아파했다. 능멸당 한 누이 앞에서 그는 기껏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어머니를 찾는 자신의 나약함을 자책할 뿐이었다. 이 시들을 통해 독자는 이성복의 '치욕'과 '아픔'의 시편들이 태어난 자리를 정확히 되짚을 수 있으며, 시퍼렇게 살아 있는 감각적 언어, 말의 암편(岩片)들을 통해 '불가능'의 꼭짓점에 이른 오늘의 그를 다시 만날 수 있다.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