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_ 5 서론 _ 19 1장 5·18 살육과 항쟁, 그 배경과 원인 1) 박정희의 하나회 육성과 지역차별주의 _ 51 -박정희 독재정권의 두 가지 유산 _ 51 -전두환의 하나회 정치군인 _ 78 -박정희의 지역주의와 김대중 억압 _ 106 -전라도 지역의 민주화운동 _ 133 2) 신군부의 정권찬탈 음모와 국가폭력의 동원 _ 147 -10·26과 정치군인들의 음모 _ 147 -YWCA 위장결혼식 사건과 신군부의 야심 _ 158 -‘서울의 봄’과 민주화의 환상 _ 172 -12·12 반란;구직업주의와 신직업주의 충돌 _ 188 -다단계 쿠데타와 충정작전훈련 _ 200 -서울 및 광주 학생시위의 성격 _ 215 -5·17 조치와 계엄군의 축차투입계획 _ 231 2장 국가폭력과 광주시민의 민중화 1) 공수부대의 ‘과잉진압’과 광주시민의 항거 _ 241 -공수부대의 사전배치와 18일 시위 _ 241 -공수부대의 과잉진압 _ 257 -광주시민의 항거의식과 민중화 _ 282 2) 운전기사들의 분노와 항쟁의 확산 _ 324 -택시기사들의 응전과 민중항쟁으로의 전환 _ 324 -시민공동체의 함성과 승리 _ 334 -애국가와 발포, 무장투쟁 _ 361 -공수부대의 철수 _ 385 3장 광주시민 자치와 사태수습의 난항 1) 시민공동체의 자치와 평화적 타결의 모색 _ 399 -시민의 공동체의식과 시민·학생수습대책위원회 _ 399 -복면부대와 광주교도소 습격사건의 진실 _ 431 -주남마을 앞 총격사건과 원제마을의 참극 _ 448 2) 학생수습위원회의 강경노선과 최후 결전 _ 461 -언론의 침묵과 유인물 난무 _ 461 -최초의 언론보도와 유언비어 _ 474 -대통령 담화문과 수습위원회의 호소문 _ 484 -범시민대회와 학생시민투쟁위원회 _ 495 -상무충정작전과 시민군의 최후결전 _ 521 4장 ‘5·18’의 진상규명과 민주화운동 1) ‘광주’의 절규와 국가폭력 _ 539 -‘김대중 내란음모사건’의 진상 _ 539 -계엄군의 재진압과 ‘광주’의 절규 _ 550 -국보위 설치와 제5공화국 출범 _ 572 2) 민주화 운동과 5·18의 청산 _ 582 -천주교 사제들의 진상규명운동과 민주화 투쟁 _ 582 -반미운동의 원인과 전개과정 _ 605 -민중운동과 6월 항쟁 _ 626 -민족화합위원회와 5·18 청문회 _ 642 -5·18 특별법 제정과 성공한 쿠데타의 단죄 _ 674 결론 ‘5·18 광주민중항쟁’의 성격과 역사적 의의 _ 683 참고문헌 _ 707 찾아보기 _ 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