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축하받으려고 너를 사랑했어”
플라스틱 아름다움과 외로움이 무한히 반복되는 루프-삶
그 굴레에서 우리를 구원하는 사랑-시
한여름의 강렬한 햇빛 같은 첫 시집 『한여름 손잡기』로 끈적하게 열렬하면서도 싱그럽게 반짝이는 사랑을 독자들에게 나누어주었던 권누리 시인이 두번째 시집 『오늘부터 영원히 생일』을 펴낸다. “오늘부터 영원히 생일을 축하받고 싶다”는 고백에서 따온 제목은 화사한 첫인상이었다가 서술어로 시선을 옮기면 서글픈 정조로 변모한다. 다만 종말을 맞은 세계에서 거짓된 아름다움과 무한한 외로움을 곱씹으면서도, “우리는 여전히 너희를 사랑한다고 위로 건네”(「오래된 섬광」)는 화자들은 쉬이 꺼지지 않는 사랑의 의지를 밝히고 있기에 주목을 요한다.
터지는 폭죽과 달콤한 케이크, 다정한 말들, 한편으로 생일 파티가 끝나고 홀로되는 게 벌써부터 두려워 이 시간을 한없이 늘리고 싶은 사람의 마음…… 『오늘부터 영원히 생일』에선 그처럼 슬픔과 기쁨이 맞붙어 교차하고, 미러볼처럼 한없이 돌아가며 반짝인다. 케이크 앞에서 “축하받으려고 너를 사랑했어”(「유리 껍질」) 말하는 화자들은 누군가에게 ‘받을 때’보다 ‘줄 때’가 더 편한 사람, 무언가가 ‘되는 것’보다 무언가를 ‘하는 것’이 익숙한 사람들이다. 그러므로 이 시집은 가진 사랑이 많아 고민인 이들에게 바치는 헌사가 된다. 이들이 지난 삶에서 행해온 사랑을 닮은 『오늘부터 영원히 생일』은 세계의 구석진 자리들을 사랑으로 덧칠하는 그 시선에 기꺼이 값하는 시들로 가득하다.
어느 날 깊이 잠든 너의 곁에서 눈을 감으면 마음이 쉽게 축났다
손을 겹쳐 잡아야 이루어지는 소망 같은 게 있어
물끄러미 올려다보는 곳마다 사람이 살고 있었다
우리는 지옥보다 천국을 더욱 먼저 발견할 것이다
오래된 집 앞 산책로 가로등 개수보다도 먼저
_「내가 살아 있었다는 것을 너는 기억하겠지」에서
권누리의 시에서 아이들은 유령처럼 흐릿한 존재감을 지닌 채 거리를 거닌다. “종말 이후의 세계”(해설에서)를 살아가는 이들은 스스로를 “어린 불행에 대한 예감으로 감지”(「파랑계」)한다. 그 예감의 기원을 “내 자리가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발견한 나를 손에 쥐고 주머니 깊숙이 쑤셔넣었지만 그때그때/ 필요한 나를 찾아내는 일에 실패하곤 했다”(「연결 녹지」)는 실감에서 찾을 수 있으리라. “어린 유령의 미래”는 “고작 인간이 되는 거라”(「여름 유령 상처 장미」)서, 이들은 “슬픔의 손톱을 먹어 겨우 사람이”(「광선과 율동」) 될 예정이다.
권누리 시 속의 아이들, 신, 유령은 모두 조금씩 중첩되고 어딘지 닮아 있다. 삶과 죽음이라는 이분법, 그리고 종말이 곧 완결이라는 목적론적 세계의 규칙은, 이들의 세계에서 반박되고 있거나 혹은 지워져 있다. 한없이 가벼워진 이전 세계의 유산들은 지금 또다른 세계(놀이)의 규칙이나 동력으로 재가동되고 있다. 절대적 토대가 붕괴된 세계의 이 평평한 존재론(flat ontology)은 이 세계의 전제다.
_김미정 해설 「루프물의 리얼리티 혹은 유령의 유물론」에서
“작고 동그란 슬픔을 탁탁 터뜨리며” 노는 아이들은 “안녕, 이제 가/ 보낼 마음도 없이/ 인사를 하면 조금 수척해진 얼굴로 다시 초인종을 누”(「아키비스트」)르는 놀이를 반복한다. 예정된 이별을 무르고픈 마음이 ‘루프물’을 고안해낸 듯하다. 하지만 삶을 소박하게 반복하는 루프가 그들이 진정 만족할 만한 것은 아닐 터이다. “멀리 가/ 다시는 되돌아오지 않도록”(「스너프 박스」) 당부하듯 이들은 반복되는 꿈의 세계 가운데 균열을 내고 그 너머로 나가기를 기원하고 있다. “나는 너의 장래를 떠올리는 사람으로 살아간다”(「광 선로」)라고 말하며 다가올 미래를 꿋꿋이 믿는 그들의 태도가 권누리에게 있어 곧 사랑의 자세임은 자명하다.
우리 오래 살자
우리 오래 살자, 말하는 것을 들으며
나는 부서진 빛의 조각을 원피스 자락에 주워 담아
어디로든 갖고 갈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한여름이 정수리에 쏟아진다
투명하게 빛나는 손바닥
오늘부터 영원히 생일을 축하받고 싶다
가끔은 이 긴 꿈에서 깨어나 산 사람들에게 걱정 말라고
우리는 여전히 너희를 사랑한다고 위로 건네고
_「오래된 섬광」에서
“꿈 밖에서는 눈부신 환대를 경험한 지 너무 오래되었”(「오래된 섬광」)기에 꿈 안에 오래 잠들기로 한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꿈으로 떠나와서도 여전히 미련이 남는 것들이 있다. 꿈에서 깨어나 처음 입을 떼는 것처럼 뜨문뜨문, 하지만 분명하게 “너 내가 사랑했어?” “너 나도 사랑했어?”라고 묻는 이들. “축하받으려고 너를 사랑했어”라는 말은 ‘너를 사랑하려고 태어났어’로 치환 가능하리라. 그러므로 이들이 준비하는 “태어났던 사람을 위한 케이크”(「유리 껍질」)는 우리 모두의 ‘나’를 위한 것이기도 하다.
이들이 자꾸만 “세상이 끝나는 날/ 나와 함께 있지 않을/ 사람을 골라/ 사랑하는 일”(「자연사 풍경」)은 서글프다.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천사에게 그들은 “여태 너를 사랑하는 일은 나의 뜻인 것만 같아”라며 “다정한 저주”(「서로 닮은 천사의 얼굴」)에 걸렸음을 고백하지만, 그럼에도 무한한 의지로 이 “골탕 먹이는 사랑을”(「광선과 율동」)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왜냐면 사랑은 “같이 있다는 걸 알”게 하는 것으로, “동시대의 기쁨”(「음영」)을 일깨우는 유일한 것이기 때문이다.
햇볕 쩡쩡한 날이면 인간도 은박지 위에서 슬픔 같은 것을 모조리 말려버릴 수 있다. 냉이 꽃줄기 잎줄기 아래로 끊어지지 않도록 당겨 두 손바닥 사이 줄기 끝을 끼우고 비비면
파드득
파드득 냉이가 짤랑대고
앵두,
달려온다.
앞산 뒷산 옆산 다시 반복되는 것이 이 또랑은 고디 잡기도 좋게 얕네, 맞제.
얌전히 앉아 젖은 발을 말릴 만한 가장 너른 바위를 찾아 물가를 떠도는 게 여름방학의 우선 과제였을지 몰랐는데
_「만타(萬朶)」에서
『오늘부터 영원히 생일』의 사랑은 정감과 활기 가득한 언어들로부터 몸을 얻는다. 권누리의 언어는 시공간을 생생하게 그려냄으로써 그 안에 사람이 살 수도 있게 하는 시의 힘을 실감하게 한다. “튀며 나르며 공중으로 탕탕 흩어진다구!” 외칠 때 비어져나오는 이 지극히 싱그러운 명랑함은 “사람이라는 이유로 모르는 사람을 함부로 사랑하게 되”(「빛들과 완전」)었다고 고백하고 마는 사람, 즉 사랑에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사람만이 가진 명랑한 리듬일 것이다.
“말에 힘이 있다고” 믿는 이들은 “혼자 있지 마, 언제나 같이 있자”(「알코브」)고 말을 건넨다. 그렇게 “마른 몸을 벗어두고 소나기를 맞으러 나가기로 마음먹는” 이들을 천천히 따라가다보면 이 세계에 반복되는 종말 대신 새로운 시작, “새 여름”(「나의 유령 어금니 모양」)이 도래할 것을 함께 믿을 수 있게 된다. ‘동시대의 사랑’에 새로 이름을 붙이는 권누리의 사람들과 함께 “새 차원의 시차를 목격하는 오늘의 오후”(「내가 살아 있었다는 것을 너는 기억하겠지」)가 차츰 펼쳐지는 순간이다.
왜 따뜻함보다 차가움이 더 오래갈까
커피 담긴 잔을 만지며 생각하면
멀리 있는 사람을 오래 사랑하는 일도 이해됐다
(…)
우는 모습보다 웃는 모습을 더 잘 기억하고 싶어
기쁨이 있던 계절.
사람이 사람을 사랑하는 일에 의심이 없어
무더운 여름이 오래도록 이어졌던 날
밤이면 낮에 마신 커피 때문에 잠들지 못했지만,
_「음영」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