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리쾨르 사상사에 대한 개요
제1부 상징
[제1장: 리쾨르의 상징 해석학]
1. 상징 해석학을 전개하기 위한 사상사적 배경
2. 고백 현상화
3. 신화 해석학
4. 상징 해석학
제2부 은유
[제2장: 리쾨르의 은유론]
1. 은유와 고전 수사학
2. 은유와 의미론
3. 은유와 지시
4. 은유와 진리
5. 은유와 신의 이름
6. 몇 가지 문제 제기
[제3장: 융겔의 은유론]
1. 성경 언어 해석학
2. 은유
3. 유비
4. 이야기
5. 비유
6. 몇 가지 문제 제기
제3부 이야기
[제4장: 시간과 이야기]
1. 해석학으로 넘어가는 과정
2. 해석학에서 이야기라는 우회로가 차지하는 중요성
3. 역사 서술과 문학에서의 이야기
4. 이야기 해석학을 이해하기 위한 사상사적 배경
5. 이야기 해석학의 지향점
[제5장: 철학적 이야기]
1. 하이데거의 시간 개념
2.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개념
3. 하이데거의 역사성
4. 이야기와 시간
[제6장: 문학적 이야기]
1. 행위 모방
2. 이야기 모방
3. 삶의 모방
4. 문학적 이야기 이론의 의의와 문제점
[제7장 역사적 이야기]
1. 시적 재구성
2. 역사적 시간
3. 이야기의 해석학적 존재론
4. 드로이젠의 역사 이야기 이론
5. 영미 분석 역사철학 이론에 있어서 역사 이야기 이론
6. 리쾨르와 카의 역사 이야기 이론
[제8장: 신학적 이야기]
1. 성경의 시간과 이야기
2. 종말론
3. 비판과 제안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