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4 서설 은성했던 차 문화의 기억을 찾아서 8 제1부. 잊혀진 차 문화의 기억을 깨우다 1. 일곱 가지 향차 이야기 : 최초의 다서 『부풍향차보』 27 저자 이운해에 대하여ㅣ『부풍향차보』는 어떤 책인가?ㅣ『부풍향차보』와 향약차 2. 마침내 찾은 우리 차 문화 고전 : 이덕리와 『동다기』 41 「기다」인가 『동다기』인가?ㅣ이덕리는 누구인가?ㅣ『동다기』는 어떤 책인가? 3. 18세기 차 문화의 실상은 어땠나? : 『동다기』의 차 이해 55 18세기 조선의 차 문화 실상ㅣ 차의 산지와 채다ㅣ차의 별칭 4. 떡차 마시는 법과 우리 차의 우수성: 『동다기』의 떡차론과 차 효용론 71 떡차와 엽차ㅣ떡차 마시는 법ㅣ우리 차의 우수성과 차의 효능 5. 차 무역의 구상과 운용 계획 : 『동다기』의 차 무역론 85 『동다기』의 저술 목적ㅣ차 채취 방법과 예상 수익ㅣ차시 운영 방법과 수익금 활용 방안 제2부. 우리 차의 중흥조 다산 6. 역대 중국의 차 전매제도 : 다산의 「각다고」론 103 전대의 각다 논의ㅣ「각다고」의 내용ㅣ역대 각다 정책에 대한 다산의 태도 7. 아홉 번 찌는 구증구포의 제다법 : 다산의 떡차론과 구증구포설 119 다산이 마신 차는 떡차ㅣ다산의 떡차에 대한 다른 증언들ㅣ구증구포의 실체ㅣ구증구포 떡차인 보림사 죽로차ㅣ일제강점기로 이어진 떡차 제법 8. 스님! 차 좀 보내주소 : 다산의 걸명 시문 139 다산의 초기 차 생활ㅣ다산과 혜장의 만남과 걸명시ㅣ다산의 「걸명소」 9. 우리 차 문화 중흥의 산실 : 다산초당과 다산의 차 생활 153 다산초당의 다조와 약천ㅣ새로 찾은 다산의 차시와 차 편지ㅣ다산의 소실 정씨 모녀와 자족적 차 생활 10. 주머니에 담아둔 찻잎 : 아암 혜장의 차시 175 다산과 혜장의 교유시ㅣ혜장의 걸명 답시ㅣ혜장의 차시 11. 차 맷돌을 빙글빙글 돌려 : 『육로산거영』에 보이는 차시 189 『육로산거영』의 구성과 차시ㅣ『육로산거영』에 수록된 석옥 화상의 차시ㅣ다산의 차시ㅣ수룡 색성과 침교 법훈의 차시ㅣ철선 혜즙의 차시 12. 적막히 스님 하나 찾아오누나 : 다산과 초의 209 다산과 초의의 첫 만남ㅣ다산초당에서의 강학ㅣ다산의 가르침과 내면 갈등 제3부. 차의 시대를 활짝 연 초의 13. 풀옷 스님의 이름 내력 : 초의 명호고 229 출가와 법명 의순ㅣ초의란 이름의 연원ㅣ중부란 자의 의미 14. 나뭇가지 하나로도 편안하다네 : 일지암 이야기 243 ‘일지’에 담긴 뜻ㅣ일지암 건립 경과ㅣ일지암의 공간 배치 15. 남녘 차의 짙은 향기 : 박영보의 「남차병서」와 「몽하편」 263 초의와의 첫 대면과 「남차병서」ㅣ초의의 「증교」시 화답과 박영보의 답시ㅣ「몽하편」에 얽힌 이야기 16. 차 끓여 박사 이름 얻으셨구려 : 초의와 신위 275 신위의 「원몽」 4수ㅣ자하의 「남차시 병서」ㅣ삼여탑과 초의차ㅣ초의의 단차와 신위의 음다법 17. 차의 역사를 말씀드립니다 : 『동다송』 다시 읽기 297 『동다송』의 창작 동기ㅣ『동다송』 새 풀이ㅣ『동다송』의 내용 구성과 의미 18. 찻일은 차와 물의 조화 : 『다신전』의 의미 311 『다신전』은 왜 베꼈나?ㅣ『다신전』과 초의의 제다법ㅣ다신의 정체 19. 찌든 속을 씻겨주오 : 초의와 황상 325 추사와 황상ㅣ초의와 황상의 만남ㅣ교유와 걸명시 20. 소나무 아래서 수벽탕을 달입니다 : 초의와 홍현주 341 초의와의 첫 만남ㅣ초의가 해거에게 보낸 편지와 『동다송』ㅣ초의의 금강산 여행과 수증시 21. 눈을 녹여 차를 끓였네 : 해거 홍현주의 차시와 차 생활 359 눈물로 끓인 보이차ㅣ해거의 걸차시와 명집ㅣ해거의 차시와 차 생활 제4부. 차 문화를 앞장서 이끈 추사 22. 차의 삼매경을 깨달았구려 : 추사와 초의 377 추사의 차 입문과 차 생활ㅣ초의와 추사의 첫 대면ㅣ걸명 편지와 초의차의 종류 23. 차로 인해 물맛을 알고 : 추사의 차 생활과 그 밖의 걸명 편지 393 초의에게 준 시문과 글씨ㅣ쌍계사 승려들에게 보낸 차 시문ㅣ역관 제자들과의 차 인연 24. 차 바구니를 온통 뒤져서라도 : 추사와 다선 향훈 407 추사의 편지와 향훈의 차ㅣ향훈에게 준 추사의 게송ㅣ향훈에게 보낸 편지와 ‘다선’의 호칭 25. 차를 반쯤 마시고 향을 사르다 : 다반향초론 419 ‘다반향초’는 무슨 뜻인가?ㅣ신위와 북선원의 다반향초실ㅣ‘다반향초’를 노래한 한시들 26. 신필의 장한 기운 : 추사 「명선」 진안변 435 「명선」 위작설의 경과와 논거ㅣ「명선」에 얽힌 초의와 추사의 인연ㅣ「명선」의 필획, 과연 추사의 것이 아닌가? 제5부. 그 밖의 후원자들 27. 차 만드는 법을 논함 : 산천 김명희의 「다법수칙」 459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