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_4 서론 1. 무대: 통합된 초원과 오아시스 세계 _13 2. 자료: 한문 자료와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의 비교 _22 3. 지향: ‘고대 유목제국론’의 재검토 _27 4. 내용: 아사나 권력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소멸 _35 제1편 돌궐 건국 전사 -아사나 건국 신화의 역사화 1장| 건국 신화 기록의 정리와 내용의 재배열 1. 신화 기록 내용 _42 2. 신화 기록의 비교와 내용의 재배열 _53 2장| 아사나 원류 연구에 대한 재검토와 신화 내용의 재구성 1. 아사나 원류 연구에 대한 재검토 _65 2. 이리 신화소로 연결된 사료 (A)와 (B)의 내용 재구성 _75 3. 사료 (C)와 (A)의 내용 재구성 및 아사나의 원주지 비정 _98 3장| 6세기 전후 톈산 산맥 주변 정세와 아사나의 등장 1. 톈산 산맥 주변 세력들의 충돌과 아사나의 형성 _108 2. 아사나의 세력화 과정: 대장장이에서 카간으로 _118 제2편 돌궐 제1제국 552~630 -거대 유목제국으로의 발전과 한계 1장| 지역 단위 유목 국가에서 거대 유목제국으로의 발전 552~579 1. 몽골 초원 장악과 아사나 중심 국가의 성립 _134 2. 급속한 대외 팽창과 거대 유목제국으로의 발전 _170 3. 교역 국가로의 지향과 제국 체제의 정비 _191 2장| 유목제국의 해체와 중국 의존적인 유목 국가로의 위축 579~630 1. 아사나 종실의 내분과 제국의 균열 _224 2. 돌궐의 분립과 수조 중심 질서로의 편입 _257 3. 수말 당초 동돌궐의 질서 재편과 당조의 대응 _293 제3편 당조의 기미지배 630~687 -당조의 유목 세계 질서 재편과 돌궐의 대응 1장| 패망 이후 돌궐의 존재 양상 630~646 1. 돌궐의 대규모 투항과 당조의 지배 구조 _330 2. 돌궐의 고비 남부로의 이주와 실패 _357 2장| 당조의 기미지배 체제 도입과 돌궐의 내적 변동 646~687 1. 돌궐의 기미지배 체제 편입과 아사나의 약화 _379 2. 아사덕 주도의 돌궐 부흥 운동과 아사나의 부활 _397 제4편 돌궐 제2제국 687~745 -유목 세계의 분절화와 아사나의 부침 1장| 돌궐의 유목 세계 재통합과 발전 687~715 1. 돌궐의 몽골 초원 귀환과 아사나 중심 국가의 재건 _418 2. 카프간 카간의 대외 확장과 대결 구도의 심화 _440 2장| 돌궐의 당조에 대한 저항과 타협 715~741 1. 돌궐의 와해 위기와 빌게 카간의 수습 _471 2. 돌궐의 당조 중심 질서로의 편입과 한계 _499 3장| 돌궐의 붕괴와 아사나의 소멸 741~757 1. 아사나·아사덕 연합 권력의 해체와 돌궐의 붕괴 _551 2. 아사나의 당조 투항과 소멸 _563 에필로그 돌궐이 만들어낸 세계와 그 유산 _579 부록Ⅰ.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 1.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 소개 _600 2. 고대 투르크 비문 자료의 번역 _620 〈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