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의 폭력

올리비에 몽젱
276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0. 서문: 폭력의 화면들 예리한 질문들 어떻게 여기에서 벗어나는가? 세 가지 가설들 I. 한 폭력에서 다른 폭력으로 1. 폭력의 두 시기 폭력이 시련으로 나타나는 시기: 장르 영화들 두번째 시기, 혹은 자연상태 2. '천성적인 살인자들' : 제거와 조롱의 사이 . 증가의 법칙들 . 격분과 학살 - <양들의 침묵>에서 <원초적 본능>에 이르기까지, <분노의 폭발>에서 <레옹>에 이르기까지, <트루 로맨스>에서 <올리버 스톤의 킬러>에 이르기까지 . 폭력, 미학화와 조롱 - 존우(오우삼)와 쿠엔틴 타란티노의 제의들 . 미학화: 움직임과 세세한 것에 대한 집착 II. 여기에서 어떻게 빠져 나가는가? 1. 폭력의 노예들(<증오>) . 추락하는 그들을 보라 . 뿌리 없는 집단 . 언어폭력 속에 퍼지는 울림들 . 변두리 도시에서 대도시로 . 추락하는 인간들을 보라 . 어떻게 바라보는가? . 시골 지역에서의 증오(<의식>) 2. 자유를 향한 시나리오들: 가족, 전사들과 조상들(<전사의 후예>) . 소외의 굴레들과 남성적 힘의 지배 . 출구들, 남성의 입장 . 폭력을 타도하는 여성적 힘들 .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환상(<비포 더 레인>) 3. 폭력을 해체하는 것, 혹은 어떻게 무장해제시키는가?(<용서받지 못한 자>와 <인디언 러너>) . 보안관, 혹은 폭력의 대가(<용서받지 못한 자>) . 어리석은 자가 되지 않는 방법은 무엇인가? 혹은 폭력에 대한 두려움(<인디언 러너>) III. 폭력의 재생: 마틴 스콜세지와 스탠리 큐브릭 1. 폭력으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추락에서 상승으로 . 사람들이 어떻게 폭력 속으로 들어가는가(<택시 드라이버>) . 깨달음의 표시들(<코미디의 왕>) 2. 폭력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 <세계태엽장치 오렌지>와 <메탈 자켓> . 큐브릭의 교훈: 시선의 예술 . 폭력에 대한 무감각이 증폭되는 것인가? 결론 . 화해의 길에 선 세계인가? . 무감각화의 카타르시스 부록 I - 볼모로 잡힌 도시: 베이루트에 관한 영화들 부록 II - 이미지의 거짓과 맹목적 광신주의(존 휴스턴의 <악마>)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