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1부 인공지능의 편향
1장 인공지능의 공정성과 데이터의 편향성 –김정룡·정원섭
2장 인공지능으로 인한 불투명의 문제를 다루는 제도적 방안 -김건우
3장 인공지능의 편향과 계몽의 역설에 대한 반성적 접근 -정성훈
2부 챗봇의 일탈
1장 스캐터랩 ‘연애의 과학’과 ‘일상대화 인공지능’ 사이의 관계를 인공지능 연구개발 커뮤니티에 어떻게 설명해 왔는가? -오요한
2장 ‘연애의 과학’이라는 주술과 챗봇 ‘이루다’라는 전략 게임 -정성훈
3장 자연어이해와 대화형 챗봇 엔진의 구현 기술 –강승식
4장 인간다운 인공지능 챗봇의 지향에 대한 경계: 우리는 어떤 챗봇을 기대하는가? -장윤정
5장 챗봇 ‘이루다’가 남겨야 하는 것 –윤미선
6장 챗봇의 사회적 능력: 이루다·샤오빙·린나 -양일모
7장 ‘이루다’의 후속 이슈들: 새인정보보호위원회의 행정처분, 스캐터랩의 정중동 행보, 대화형 인공지능 연구성과, ‘연애의 과학’ 일본어 사용자들의 데이터, 쇠소한의 비식별화 조치, 그리고 자본의 문제 -오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