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여름이 지나면 우리는 훌쩍 자라날 거야.”
지금 여름의 시간에 서 있는
우리 모두를 향한 다정한 응원
작고 여린 연둣빛 풀 하나가 봄을 지나 여름으로 들어섭니다. 얼른 무성하고 짙은 초록이 되고 싶기에 여름을 맞는 마음은 조금 설레기도 합니다. 하지만 단지 여름이 되었다고 해서 성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온몸이 탈 것 같은 한낮의 더위와 몰아치는 폭풍우를 겪어야만 하지요. 그런 시간 동안 꺾이지 않고 잘 서 있을 때에야, 바라는 대로 무성해져서 숲을 이룰 수 있습니다.
<여름이 지나면>은 ‘여름’이라는 시간에 빗대어 성장의 과정과 그 시간을 지나는 마음가짐을 말하는 그림책입니다. 내가 바라는 내가 되는 과정은 조바심이 날 만큼 더딜 수 있고, 어려움, 좌절, 실패와 같은 시간들을 겪어야 하지만, 그렇더라도 자신에 대한 믿음을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섬세한 그림을 통해 세심하고 다정하게 전하고 있습니다. 뭔가 대단한 도전이나 성취를 이루지 않더라도, 여름의 시간 동안 그 자리에 잘 서 있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나로서 살아가고 성장하고 있음을 일깨워 줍니다. 우리 모두 여름을 지나 눈부신 내가 될 거라고 다정하게 응원해 주는 그림책입니다.
“꺾이지 않고 잘 서 있을게.”
성장의 시간을 겪는 우리에게 필요한 마음
여린 풀들에게 여름은 어떤 시간일까요? 이들을 떠올리면 한낮의 뜨거운 볕에 말라 시들거리는 모습과 그럼에도 하루가 다르게 쑥쑥 자라는 모습이 동시에 그려집니다. 여름은 성장의 계절임에는 분명하지만, 호락호락하지는 않은 시간이지요.
<여름이 지나면>은 ‘여름’이라는 시간에 빗대어 성장하는 동안 지나야 하는 과정과 그 시간에서 우리가 가져야 할 태도에 대해 이야기하는 그림책입니다. 여린 연둣빛이 무성해져서 숲을 이루기까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조바심 낸다고 해서 바로 짙은 초록이 될 수는 없지요. 더위와 장마, 태풍 같은 시간들을 지나야만 하고, 그 시간 동안 꺾이지 않고 잘 서 있어야 합니다.
어쩌면 우리 모두는 여름의 시간을 지나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게다가 우리는 목마른 더위와 휘청거리는 폭풍우 같은 시간을 참 자주 맞닥뜨리게 됩니다. 성장이라는 과정이 한 번뿐인 시간이 아니기 때문일 것입니다. <여름이 지나면>은 내가 스스로 바라는 모습이 될 수 있다는 믿음을 버리지 않고, 이 시간을 오롯이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또 한 번의 여름을 지나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다정하게 희망을 전합니다.
“내 안에 숲이 있다는 걸 믿으니까.”
우리 안에 있는 숲을 바라보게 하는 이 책은, 성장이라는 결과보다는 성장하는 시기를 지나는 과정의 마음가짐을 더 강조하고 있습니다. <파란 조각>에서 섬세하고 세밀한 그림체로 독자들을 아름다운 여름의 장면 장면으로 초대했던 박찬미 작가는 2년 만에 선보이는 두 번째 그림책 <여름이 지나면>에서 자신이 지나온 시간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어른으로서 작가로서 성장에 대해 조바심이 났던 순간들 속에서, 작가는 마음을 다잡고 자신이 경험하고 지나야 하는 시간들을 덤덤히 받아들였고, 그 시간들을 잘 지나면서 얻은 깨달음을 <여름이 지나면>에 담았습니다. 풀들이 여름을 지나야만 하듯 우리에게도 여름과 같은 시간이 있다는 것을 말입니다. <여름이 지나면>의 아름답고 서정적인 그림에는 그런 시간의 흐름이 느껴집니다. 사각사각 색연필로 그림을 채워간 시간이 보이는 듯합니다.
여름의 시간에서 잘 서 있는 법과 여름이라는 시간을 받아들이는 마음가짐을 생각하게 하는 이 그림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 안에 있는 숲을 새삼 깨닫고, 조금은 담담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종종 찾아오는 여름을 잘 지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