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글씨책] 취재 기사 작성법

김문환 · 인문학/사회과학
266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평가하기
코멘트
더보기

기자가 되어도 좋은 기사문을 쓰기는 쉽지 않다. 블로거나 SNS 활동가가 현장을 맞닥뜨려도 유려한 문장으로 서술해 내기는 어렵다. 탐방 기사에 초점을 맞춘 이 책은 언론사 시험 준비, 초년 기자들을 위한 기사 작성 능력 키우기, 탐방 글쓰기 능력 기르기를 목적으로 한다. 저널리즘과 기사 작성에 관한 이론적 접근을 배제한 현장 실무 교재다. 취재 기사 작성 노하우를 확인할 수 있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목차

머리말 01 행사 스케치 자신만의 개성 있는 현장 특징 묘사 1. 맛깔스러운 수식과 간결한 표현 2. 시민 인터뷰로 현장감 살려 3. 당면과제로 주제 부각 4. 뜨거운 격문 아닌 냉철한 통찰 02 이색 현장 탐방 기사 제목 정해 현장으로 가야 1. 첫 문단은 현재형 현장 묘사 2. 묘사 뒤, 설명으로 내용 보충 3. 스피디한 묘사로 생동감 4. 인터뷰로 현장감과 사실성 03 역사 현장 탐방 기사 시의성 살린 유적 찾아 교훈 1. 유적에서 메시지 끌어내 2. 유적에 역사 정보 담아 3. 재구성한 역사에 교훈 담아 4. 유적에 스민 의미로 중간 제목 04 시사 현안 탐방 기사 현장 · 문제 · 원인 · 대책 4단계 구성 1. 대립사안 인터뷰로 사실성 부각 2. 기사 길면 가독성 떨어져 3. 현장 없는 현안, 사례와 인터뷰로 4. 시민을 주어로 한 제목과 문장

출판사 제공 책 소개

기자가 되어도 좋은 기사문을 쓰기는 쉽지 않다. 블로거나 SNS 활동가가 현장을 맞닥뜨려도 유려한 문장으로 서술해 내기는 어렵다. 탐방 기사에 초점을 맞춘 이 책의 목적은 세 가지다. 먼저, 언론사 시험 준비. 서류심사와 필기를 통과하면 기사 작성 능력 시험을 치른다. 언론사는 주제를 던진 뒤 취재 시간을 준다. 수험생은 오후 늦게 들어와 기사로 작성하는 형태다. 현장을 스케치하거나 특정 문제를 진단하며 대안을 내는 시사 현안 취재 기사가 주를 이룬다. 언론사 준비생들은 취재와 기사 작성 능력을 제대로 준비하지 않을 수 없다. 비록 합격해 기자가 돼도, 현장 취재와 기사 작성을 능숙하게 해내기는 필자의 경험처럼 쉽지 않다. 아직 탐방 기사에 익숙하지 않은 초년 기자들을 위한 기사 작성 능력 키우기가 두 번째 목표다. 세 번째는 명소 등을 탐방한 뒤 그 감동을 기록하거나 SNS에 올리려는 블로거나 SNS 활동가들을 위한 탐방 글쓰기 능력 기르기다. 지난해 펴낸 <TV 뉴스 기사 작성법>에 이어 신문기사 가운데 현장 탐방 기사에 초점을 맞춘 취재와 기사 작성 직설(直說)서다. 저널리즘과 기사 작성에 관한 이론적 접근은 배제한 현장 실무 교재다. 어설픈 초고 문안이 완벽한 기사문으로 완성되는 과정과 노하우를 확인할 수 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