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을만드는지식 희곡선집>은 인류의 유산으로 남을 만한 작품만을 선정합니다. 오랜 시간 그 작품을 연구한 전문가가 정확한 번역, 전문적인 해설, 풍부한 작가 소개, 친절한 주석을 제공하는 고급 희곡 선집입니다.
**<유령소타나>는 발표 당시 무관심과 몰이해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스트린드베리 희곡 가운데 가장 자주 무대에 오르는 작품이다.
<유령소나타>는 ‘내면의 연극’ 시리즈 중 세 번째 작품으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제명은 ‘유령소나타-실내극 op.3’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작품 탄생 배경에는 음악적 모티브가 내재해 있다. 요컨대 스트린드베리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17번 <폭풍> d단조 op.31-2를 듣고 모종의 영감을 얻어 쓰게 된 작품이라는 것이다. <유령소나타>의 정확한 탈고 시기는 1907년 3월 8일로 기록되어 있으며, 1908년 1월 21일 스트린드베리와 아우구스트 팔크가 인티마 극장에서 초연한 것으로 되어 있다. 스트린드베리의 거의 모든 희곡, 특히 후반기 작품들이 대개 그렇듯이 <유령소나타>에는 작가의 삶과 그에 대한 성찰과 고뇌가 짙게 배어 있다. 일설에 의하면 이 작품의 인물이나 무대 설정은 스톡홀름의 어느 부르주아 가정의 실제 삶을 모델로 했다고 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스트린드베리의 ‘실내극’은 한동안 작가의 창작 지형도에서뿐만 아니라 현대연극의 변방에서, 그것도 아주 기이한 형태로 존재한다는 이유로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유령소나타>의 서사 체계나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상징들을 분석해 본 결과 그 기이함과 난해함의 기저에 인간과 삶에 대한 작가의 통찰과 비전이 짙게 깔려 있으며, 그것에 대한 긴밀한 해석이 전제될 때, 비로소 작품의 전체적인 대계와 윤곽을 파악할 수 있다.
이 책은 상세한 해설과 함께 잉마르 베리만과 앙토냉 아르토의 연출 일지를 부록으로 수록해 스트린드베리와 그의 작품 세계를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