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정치생태학이란? 1. 도끼와 씨앗 정치생태학이란? 정치생태학의 지배적인 화술 2. 깊은 뿌리를 가진 나무 결정주의자 상황 기본 원칙들 3. 비판적 도구 공동재산이론 녹색 물질주의 생산자는 역사 대행자: 농민연구 가구를 세분하여 접근하기: 여성주의 발전 연구 비판적 환경역사 누구의 역사 그리고 과학? 후기식민주의 연구와 권력/지식 정치생태학의 등장 4. 현실이 명확해짐 설명의 연쇄 주변화 광범위하게 정의된 정치경제 25년 후 제2부| 개념적 그리고 방법론적 도전 5. 자연의 파괴: 인간의 영향과 환경 악화 인간 영향의 초점 악화의 정의와 측정 토지악화의 한계: 변화, 교란, 그리고 회복 환경파괴의 정치적 분석에서의 방법론적 의무 6. 자연의 구성: 환경지식과 상상 왜 자연이 구성되었다는 주장이 문제인가? ‘회전의자’ 생물학자와 ‘병적인 가정주부’ 환경구성의 정치적 분석을 위한 방법론적 문제 제3부|정치생태학의 현재 7. 악화와 주변화 연구 사례: 라자스탄의 공동재산 혼란 8. 보존과 통제 연구 사례: 아라발리(Aravalli)의 권력 생물지리학 9. 환경 갈등 연구 사례: 타르(Thar)에서의 성별화된 경관과 자원 병목 10. 환경정체성과 사회운동 현장에서: 라자스탄의 목부 정치 제4부|현재로부터 어디로? 11. 현재로부터 어디로? 정치생태학에 대한 반론? 균형을 위한 세 가지 사명 혼합 논제 ‘정치생태학에 반대’에 대한 반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