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의 말 _엄기호(사회학자,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교수) 프롤로그 _김선민(청강문화산업대학교 만화콘텐츠스쿨 웹소설창작전공 교수) 01 이야기를 좋아하는 마음은 같으니까 ― 평생 독자를 발견하는 새로운 씨앗, 웹소설로 책 대화하기 웹소설이라도 읽어서 다행인 세상 서로에게 배우는 마음으로 우리들의 웹소설 역사 공유하기 종이책에 등 돌리지 않는다 가상의 세계에서 진실 말하기: 웹소설 형식의 힘 _〈데뷔 못 하면 죽는 병 걸림〉 함께 읽기 나눌 이야기가 많으면 좋은 책 _《우리의 정원》 책 대화가 일깨워 준 것 남이 보여 준 서사가 아니라 내가 만든 서사를 갖는 기쁨 어떻게 읽느냐가 중요하다 02 책과 나 사이에 그은 선을 지우는 일 ― 사고의 균열을 일으키는 웹소설 읽기 문학 창작반에 찾아온 “쾅!” 시작은 얄팍했다 무시무시한 흡인력 속에서 _[1~3차시] 〈전지적 독자 시점〉 독서일지 쓰기 흥미로운 질문 쥐여 주기 _[4~5차시] 모두가 말하는 모둠 토의 문해력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_매끄럽고 영리한 글의 의미 혼란의 한복판에 뛰어드는 읽기 _생각지 못한 교육적 효과 쉽게 평가하고 연민하지 못하는 경험 _[6차시] 서평 초고 쓰기 소설의 목표에 닿다 _[7차시] 인간과 세계의 이면을 응시하게 하는 서평 스토리의 역할을 인정할 때 선명해지는 것 03 클리셰라는 도움닫기 ― 누구나 쓸 수 있는 즐거움에 초대하는 웹소설 창작 필요한 건 독창성이 아닌 전형성 웹소설 작가 데뷔 1초 전 _[1차시] 독자 중심 글쓰기의 의미 Lv.0 사람들은 어떤 웹소설을 좋아할까? _[2~4차시] 장르별 웹소설 탐구 Lv.1 망망대해에서 클리셰를 찾아라! _[5~6차시] 장르 작가 집단 토의 Lv.2 선명하고 직관적인 스토리를 위해 _[7~12차시] 장르 클리셰 활용 Lv.3 클리셰는 독자만을 위한 것일까? _[13~15차시] 로그라인과 시놉시스 작성 말하지 않았지만 말하고 싶었던 우리의 메시지들 두근두근, 웹소설 1화 대공개! 재미있는 이야기는 성공한다 [참고자료] 중학생을 위한 웹소설 창작 활동지 04 세상을 구하는 웹소설 수업 ― 5060 동교과메이트와 함께, 시대의 욕망을 공존의 가치로 끌어오는 문학 시간 그래도 학교에선 안 돼! 정규 수업에서 웹소설을 가르치려면 두 부장님의 얼렁뚱땅 웹소설 입성기 사회 문제에 관심은 있지만… 저는 한낱 개인인걸요? 판타지가 여는 새로운 길 _[1차시]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웹소설 연결하기 의외의 퀘스트들 _[2~3차시] 〈나 혼자 탑에서 농사〉 읽기 어떤 동기와 능력으로 해결할까? _[4차시] 주인공의 특징 어떤 세상에서 해결할 수 있을까? _[5차시] 세계관 형성 요소 소시민에서 행동하는 실천가로 _[6~7차시] 사회 문제의 원인 찾기 놀러 와요, 나의 이세계 _[8~9차시] 판타지 요소로 사회 문제 해결하기 웹소설이기에 가능했다 [인터뷰] “이제 어떤 형태의 수업도 두렵지 않다.”: 막무가내 후배의 수업 파트너, 오애경 부장님 후기 05 콘텐츠로 미래를 준비하는 너에게 ― 자신의 이야기와 꿈, 욕망을 담는 웹소설 쓰기 프로젝트 너희 이렇게 웹소설 좋아했다고? 무한히 확장되는 시드 콘텐츠 일러스트와 웹툰부터 게임, 드라마까지 쓰고 싶은 장르를 찾아서(feat. 챗GPT) _[1차시] 관심 콘텐츠와 웹소설 탐색 키워드 위에 짓는 내 취향의 세계 _[2차시] 세계관과 스토리 윤곽 설계 살아 보지 못한 삶을 이해하는 시간 _[3차시] 캐릭터 구상 이야기가 가야 할 방향 설정하기 _[4~5차시] 시놉시스 완성 쓰다 보니 내 얘기잖아? _순문학 창작과 다름없는 웹소설 창작 진로 글쓰기의 또 다른 진화 [참고자료] 웹소설 쓰기 프로젝트 과제 모음 06 이것은 시대를 초월한 이야기일까? ― 토의 질문으로 탐색하는 고전소설의 가치와 웹소설의 미래 웹소설은 낯설고 고전소설은 지루해 고전소설과 웹소설이 비슷하다고? 웹소설과 친해져 보자 _[1~4차시] 웹소설의 특징 이해하기 조선시대 사람들도 ‘사이다’를 좋아했네요! _[5~8차시] 고전소설의 매력 “약한 사람들이 먼저 죽는 것은 마땅할까?” _[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