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자네, 의사가 되지 않았다면, 그 병에 걸렸겠는가?"
의사가 되고 싶었을 뿐이었는데, 환자가 되어있었다.
<봉직 의사>는 저자가 신장내과 의사가 되기까지의 과정, 다시 블로거 '닥터 키드니'가 되기까지의 변화를 담은 책이다. 그리고 환자로서, 엄마로서의 삶도 살아야 했던 어느 보통 의사의 이야기이다. 그 누구보다 환자의 아픔과 엄마의 고단함을 알기에 쓸 수 있었던 공감의 기록이다.
그러므로 <봉직 의사>는 의사의 의술 저서가 아니다.
환자가 의사의 언어를 잘 이해해야만 치료를 잘 받을 수 있듯이, 의사이지만 환자이기도 한 그녀는 환자의 아픔을 잘 알기에 그들의 입장에서 병을 이야기하고 있다. 만성 복통과 방광염, 우울증 등의 병마와 싸워 이겨낸 이야기는 그저 보통 환자의 이야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다만, 의사로서 무엇이 문제였었는지를 정확히 알 뿐이다.
<봉직 의사>는 '을'의 이야기다.
자신의 병원이 아닌 월급을 받는 의사로서의 고단한 입장을 주저 없이 단정하게 토로한다. 봉사의 순수한 마음을 놓지 못하는 천상 의사지만, '봉직의'의 벽을 뚫고 나가보려 한다.
그렇다. 이 책은 환자였던 의사, 엄마인 의사의 생존기이자, 글 쓰는 의사, 유투버의사로서의 탈출기다.
'영향력 없는 어느 여의사의 고백으로 세상은 변하지 않는다.
내 글은 태평양 한가운데 있는 나비의 날갯짓에 불과하다.
하지만 날갯짓조차 없는 사회는 죽은 사회나 마찬가지다.
미약하지만 움직이고 있다는 것이 우리가 여기 이곳에 살아있다는 증거다.'
누군가는 열심히 사는 여자 의사의 인생을 백조라고 한다.
그러나 나는 대한민국의 암소 여의사다.
의사는 집에서 아무 것도 안 하는 줄 알았다. 진료실 안 여의사들의 우아한 모습으로는 결코 연상되지 않았다. <봉직 의사>에서는 완전한 노동자로서 의사의 모습들을 과감히 보여준다. 의사도 시댁이 있고, 돌봐야 하는 아이와 집안일이 있음을 날것 그대로 웃프게 묘사하고 있다.
의사는 항상 '갑'인 줄 알았다. 간호사가 그만 둘까봐 고민하는지 몰랐다. 당당한 그녀들의 모습으로는 눈치챌 수 없었다. 병원에서 실적 평가할 때 저조한 성적을 받아든 학생처럼 쩔쩔맬 줄 몰랐다. 우리의 단단한 착각이었다.
의사는 돈을 많이 벌 줄만 알았다. 의사는 무조건 세단을 몰 거라고 생각했다. 일하는 가정부를 두고 명품 가방을 휘두르며 쉬는 날에는 골프를 치러 다닐 것 같았다. <봉직 의사>에서는 진정한 명품의 가치를 깨달은 검소한 그녀가 오늘도 인간의 삶과 죽음을 성찰한다.
의사는 안 아플 줄 알았다. 말도 안되지만 의사는 사람이 아닌 줄 알았다. <봉직 의사>를 만나기 전까지 의사의 영역은 베일에 쌓인 미지의 공간이었다. 그들도 아픔과 욕망을 가진 사람이고 우리 주변의 보통 사람이라는 것을 <봉직 의사>를 만나 새삼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