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소설은 이제 하나의 장르다
픽션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여섯 편의 이야기!
나는 사람이 사람에게 때때로는 절망일지라도,
대체로는 위로와 용기를 주는 노랫소리라고 믿는다.
_하유지, ‘작가 노트’ 중에서
페미니즘 테마소설집 『새벽의 방문자들』이 출간됐다. 페미니즘 이슈가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기 시작한 시점에 출간됐던 『현남 오빠에게』의 연장선상에서 기획된 이 책은 그때보다 조금 더 젊은 20-30대 작가들에 의해 씌어졌다. 『새벽의 방문자들』에는 2018년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과 2019년 현대문학상을 수상한 박민정의 최신작이 실렸다. 2018년 신동엽문학상 수상자이자 「질문 있습니다」로 ‘문단 내 성폭력’ 문제를 촉발시킨 시인 김현의 소설과 데뷔작 「일의 기쁨과 슬픔」으로 SNS를 뒤흔든 장류진의 소설이 처음으로 소설집에 실렸다. 또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문학동네 대학소설상을 수상한 정지향, 독특하고 따뜻한 생계밀착형 멜로드라마 작가 『눈 깜짝할 사이 서른셋』의 하유지, 21세기형 전방위 활동 작가 『뜨겁게 안녕』의 김현진 등의 작품이 실렸다.
『새벽의 방문자들』에는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이 한 번쯤은 직간접적으로 겪어나 듣거나 보았을 여섯 편의 이야기, 이제 더 이상 소설이라는 그늘 아래 놓인 ‘픽션’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여섯 편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우리는 여섯 편의 이야기 속에서 어쩌면 내 이웃이나 내 가족에게 일어났을 지도 모를, 혹은 ‘나’ 자신에게 일어났을 지도 모를 가해자와 피해자가 불분명한 사건들,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하는 건지 누구에게 화를 내야 하는 건지 분별하기 어려운 사건들을 목격하게 된다. 이런 애매하고 찝찝한 사건들을 몸소 경험해야만 했던 여섯 명의 ‘그녀’들이 여기에 있다. 그녀들의 이야기는 침묵하기를 사양하며, 그 이야기들은 삼킬 수 없는 말과 기억들을 게워내기 위한 ‘다시 쓰기(rewriting)’다.
『현남 오빠에게』 이후 2년…
여성의 이야기는 얼마나 달라졌을까?
새벽에 오피스텔을 찾아오는 방문자들…
무례하고 어린 남자 상사… 오히려 그만두라는 남편
미성년자 소녀들에게 접근하는 남자 어른들…
성소수자이면서 가해자가 된 고등학교 선생…
『현남 오빠에게』의 후속작으로 기획된 『새벽의 방문자들』은 전작보다 다양하다. 2018년 문학동네 젊은작가상 대상과 2019년 현대문학상을 수상한 박민정의 최신작이 실렸고, 2018년 신동엽문학상 수상자이자 「질문 있습니다」로 ‘문단 내 성폭력’ 문제를 촉발한 시인 김현의 소설과 데뷔작 「일의 기쁨과 슬픔」으로 SNS를 뒤흔든 장류진의 소설이 처음으로 책에 실렸다. 또한 심사위원 만장일치로 문학동네 대학소설상을 수상한 정지향, 독특하고 따뜻한 생계밀착형 멜로드라마 작가 『눈 깜짝할 사이 서른셋』의 하유지, 21세기형 전방위 활동 작가 『뜨겁게 안녕』의 김현진 등의 작품이 실렸다. 그만큼 다양하고 보다 구체적이며 때론 충격적이지만, 그렇기 때문에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
『새벽의 방문자들』에는 여전히 변하지 않은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이 한 번쯤은 직간접적으로 겪어나 듣거나 보았을 여섯 편의 이야기, 이제 더 이상 소설이라는 그늘 아래 놓인 ‘픽션’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여섯 편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우리는 여섯 편의 이야기 속에서 어쩌면 내 이웃이나 내 가족에게 일어났을 지도 모를, 혹은 ‘나’ 자신에게 일어났을 지도 모를 가해자와 피해자가 불분명한 사건들,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하는 건지 누구에게 화를 내야 하는 건지 분별하기 어려운 사건들을 목격하게 된다. 그런 애매하고 찝찝한 사건들을 몸소 경험해야만 했던 여섯 명의 ‘그녀’들이 여기에 있다.
눈먼 섹스를 하기 위해 찾아온 남자들의 얼굴을 캡처하는 ‘여자’(장류진, 「새벽의 방문자들」), 무례하고 어린 남자 상사에게 한 방 먹이고 자발적으로 공장을 그만두는 ‘나’(하유지, 「룰루와 랄라」), 어른들의 세계에서 어떤 배려도 받지 못한 채 연애라는 이름으로 섹스를 받아들여야만 했던 미성년 ‘나’(정지향, 「베이비 그루피」), 정치적 올바름을 주장하느라 인간에 대한 예의를 상실한 애인과 친구를 떠나는 ‘보라’(박민정, 「예의 바른 악당」), 선생들의 추행을 고발하기 위해 학교 복도에 포스트잇을 붙이는 ‘유미’(김현, 「유미의 기분」), 결혼을 꿈꾸며 함께 저축한 데이트 통장을 전 남친에게 털리고 멘탈도 함께 털린 ‘나’(김현진, 「누구세요?」)가 바로 ‘그녀’들이다. 『새벽의 방문자들』의 발문을 쓴 장은영 문학평론가에 따르면, “그녀들의 이야기는 침묵하기를 사양하며 삼킬 수 없는 말과 기억들을 게워내기 위한 ‘다시 쓰기’”다.
섹슈얼리티를 사고파는 곳,
이곳이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다
#미러링
“새벽의 방문자들은 잊을만 하면 한 번씩 찾아왔다.
여자는 초인종이 울릴 때마다 비디오 폰에 달린 모니터로
남자들을 관찰했다.“ _31쪽
여성의 몸에 대해 아직까지도 많은 남성들(‘명예 남성’을 자처하는 여성들까지도)은 편견을 가진다. 예를 들어 브래지어를 하지 않은 여성의 몸에 대해 그들은 ‘섹시하다’거나 ‘추하다’는 식의 편견을 앞세운 평가를 내린다. 이런 식의 편견과 평가는 외적 규범에서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우리의 영혼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끼친다. 여성의 가슴에 집착하는 섹슈얼리티가 브래지어만큼이나 선명하고 가시적으로 규범화되어 있다면 브래지어 안에 갇힌 영혼도 온전할 리 없다. 특정 방식으로 몸에 종속된 섹슈얼리티는 영혼을 억누르고 자아를 기형화한다.
장류진의 「새벽의 방문자들」이나 김현진의 「누구세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금, 여기’의 섹슈얼리티란 ‘보는 자’의 성적 판타지를 소비하는 행위로 재현된다. 섹슈얼리티가 몸과 영혼을 통합하는 충만한 내적 경험이 되는데 실패하고, 지속적인 박탈감과 자기소외를 안겨주는 이유는 그것이 영혼과 자아, 그리고 몸 전체와 분리된 채 사물화된 몸의 한 부분에만 고착되었기 때문이다. 「새벽의 방문자들」에서처럼, 섹슈얼리티를 “물다방이니 대딸방이니 풀살롱니니 미러룸이니 하는” 다양한 형태로 사고파는 곳. 혹은 ‘보이는 자’로서 느꼈던 공포감에서 벗어나 ‘보는 자’가 되기를 이행하는 미러링 소설 「누구세요?」에서처럼, 여성은 남성의 삶 한 부분을 완성하는 데 필요한 대상인 동시에 남성의 성적 판타지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섹스의 대상으로 존재하는 곳. 이곳이 바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다.
어른들의 비윤리적이고 기만적인 태도,
우리는 그녀들에게 어떻게 사과해야 할까
#소녀들
“친구 H는 집단 그루밍이 소녀들을
어떻게 불가해한 상태로 몰고 가는지 설명했다.
또 다른 H는 자기의 첫 남자에 대한 이야기를
한 시간 동안 들려주었다.“ _147쪽
록그룹의 팬으로서 그들을 쫓아다니며 성적 파트너가 된 여성들을 지칭하는 데서 유래한 용어 ‘그루피’는 문화적 현상을 일컫는 용어라기보다 성적 대상이 된 재현물을 일컫는 용어에 가깝다. 남성 스타와 그를 따르는 여성 팬이 나눈 사랑의 내막이야 알 수 없지만, 그녀들을 뭉뚱그려 그루피라고 부를 때 그 말에는 인격보다는 섹슈얼리티를 자극하는 성적 대상만이 존재한다. 고등학생 시절 무명 밴드의 멤버와 사귀는 경험이 멋진 성장담이 될 수 있으면 좋으련만 정지향의 「베이비 그루피」에서는 그렇지가 못하다. 어린 소녀였기 때문에 오히려 어른들의 세계에서 소외를 경험했던 ‘나’. ‘나’는 시간이 지난 후에 “초대되지 않은 세계에 편법으로 침투했”다가 “끝내는 부끄러운 몰골로 추방당”했던 자신의 모습을 마주한다.
김현의 「유미의 기분」에서의 사건도 세상의 수많은 소녀들을 존중할 줄 모르는 어른들의 비윤리적이고 기만적인 태도에서 기인한다. 최근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