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글로벌/로컬 추적하기(롭 윌슨·위말 디싸나야케) 1부 전 지구화 01 로컬적인 것 속의 글로벌적인 것(아리프 딜릭) 02 로컬주의, 글로벌주의 그리고 문화적 정체성(마이크 페더스톤) 03 경계 없는 세계? 식민주의에서 초국적주의로의 전환과 국민국가의 쇠퇴(미요시 마사오) 04 현실적 가상성(요시모토 미츠히로) 05 공포증적 공간과 경계적 공포: 초국적 독립 영화 장르(하미드 나피시) 06 제국의 가족에서 초국적 상상계로: 전 지구화 시대의 미디어 관객성(엘라 쇼하트·로버트 스탬) 2부 로컬적 접속 07 이국적인 것과의 불장난: 일본의 국제화 시대 타 인종과의 섹스(카렌 켈스키) 08 비의지적인 것 욕망하기: 들뢰즈와 〈로보캅 2〉에 나타난 기계적 배치와 초국적주의(조너선 L. 벨러) 09 누구를 위한 것인가? 초국적 자본과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생산(캐서린 미첼) 3부 글로벌/로컬의 분열 10 글로벌주의의 로컬주의(데이나 폴런) 11 대양감과 지역적 상상계(크리스토퍼 L. 코너리) 12 굿바이 파라다이스: 아메리칸 태평양에서의 글로벌/로컬주의(롭 윌슨) 13 타이완 신문문학 별호의 신생 문화 비평 칼럼의 사례: 현대 타이완 공적 문화의 글로벌/로컬 변증법(랴오빙후이) 14 사회 공간으로서 한국(프레드릭 제임슨과 백낙청의 대담) 후기: ‘글로벌/로컬’ 기억과 사고(폴 A. 보베) 옮긴이의 글 찾아보기 <로컬리티 번역총서>를 펴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