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혁명

김탁환 · 역사/소설
628p
구매 가능한 곳
평가하기
3.0
평균 별점
(2명)
27년간 역사소설과 사회파소설을 오가며 치열하게 창작 활동을 펼쳐온 김탁환 작가가 4년 만에 역사소설로 돌아왔다. ‘조선의 암흑기’라 불리던 19세기 초 다른 세상을 꿈꾸며 천주를 믿었던 사람들의 사랑과 소망 그리고 기다림을 담고 있다. 김탁환 작가의 서른한 번째 장편소설인 이번 작품은 원고지 약 6,000매 분량으로 전 3권으로 구성된 대작이다. 곡성으로 집필실을 옮겨 실제 소설 속 공간에서 구상하고 집필한 첫 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조선 500년을 소설로 재구성하여 품격 있는 역사소설의 장르를 개척하고, 소외되고 억압받은 인물들에 주목했던 김탁환 작가. 18세기 실학파 중심으로 형성된 집단을 주인공으로 한 ‘백탑파’ 시리즈로 영조와 정조 시대를 훑고, 20세기 개화기를 다룬 소설을 집필한 후, 이번에는 19세기 초에 일어난 ‘정해박해’로 시선을 돌린다. 정해박해는 1827년 전라남도 곡성에서 일어난 천주교 박해 옥사로, 이로 인해 또다시 조선은 천주교 탄압으로 들끓게 된다. 당시 조정은 천주교인을 잡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는데, 곡성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범위를 한양까지 확산하여 500여 명의 교인을 체포하였고, 지독하게 고문하기로 악명이 높았다. 하지만 정해박해는 천주교사에서도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이에 김탁환 작가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치밀하고 정확한 고증, 방대한 자료 조사와 탁월한 상상력을 더해 19세기 조선에서 천주교인으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여기 우리 음악이 있다

더욱 뜨겁게 돌아온 15번째 축제!

2024 여우락 페스티벌 · AD

저자/역자

코멘트

1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이 이야기만은 꼭 세상 밖으로 보내야 한다” 소설가 김탁환이 19세기 암흑기 조선에 일어난‘정해박해’를 통해 다시 묻는 사랑・믿음・희망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들 27년간 역사소설과 사회파소설을 오가며 치열하게 창작 활동을 펼쳐온 김탁환 작가가 4년 만에 역사소설로 돌아왔다. 신작 장편소설『사랑과 혁명』(전 3권)은 ‘조선의 암흑기’라 불리던 19세기 초 다른 세상을 꿈꾸며 천주를 믿었던 사람들의 사랑과 소망 그리고 기다림을 담고 있다. 김탁환 작가의 서른한 번째 장편소설인 이번 작품은 원고지 약 6,000매 분량으로 전 3권으로 구성된 대작이다. 곡성으로 집필실을 옮겨 실제 소설 속 공간에서 구상하고 집필한 첫 번째 작품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조선 500년을 소설로 재구성하여 품격 있는 역사소설의 장르를 개척하고, 소외되고 억압받은 인물들에 주목했던 김탁환 작가. 18세기 실학파 중심으로 형성된 집단을 주인공으로 한 ‘백탑파’ 시리즈로 영조와 정조 시대를 훑고, 20세기 개화기를 다룬 소설을 집필한 후, 이번에는 19세기 초에 일어난 ‘정해박해’로 시선을 돌린다. 정해박해는 1827년 전라남도 곡성에서 일어난 천주교 박해 옥사로, 이로 인해 또다시 조선은 천주교 탄압으로 들끓게 된다. 당시 조정은 천주교인을 잡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는데, 곡성에서 비롯되었지만 그 범위를 한양까지 확산하여 500여 명의 교인을 체포하였고, 지독하게 고문하기로 악명이 높았다. 하지만 정해박해는 천주교사에서도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이에 김탁환 작가는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치밀하고 정확한 고증, 방대한 자료 조사와 탁월한 상상력을 더해 19세기 조선에서 천주교인으로 살았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세계 유례없이 스스로 천주를 믿었던 조선 시대 사람들 정조 승하 후 극소수 권세가의 폭정이 거세지며 백성들의 삶이 날로 피폐해지고, 기존 사회 질서에 대한 균열이 일어나며 혁명의 기운이 꿈틀대었다. 18세기 말 조선에 들어온 천주교는 새로운 희망과 질서를 갈구하던 정약전, 정약용, 이벽과 같은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수용됐다. 조선은 세계에서 유례없이 신부가 들어오기 전 스스로 천주를 받아들인 나라이기도 하다. 당시 봉건사회로 차별과 억압 속에 민중들 또한 살기 위해 스스로 천주를 믿었다. 그들은 신앙을 지키기 위해 자신이 살던 곳을 떠나 멀고 낯선 교우촌으로 들어가 신분, 이름, 가족을 버리고, 새로운 이름으로 공동체를 이루어 다른 삶을 시작한다. 그 마을에서는 계급에 차별을 두지 않고, 남녀가 아닌 능력에 따라 일을 나누고, 노인과 아이를 서로 존중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있었다. 19세기 조선에는 없던 세상이다. 『사랑과 혁명』은 땅만을 섬기던 농부 들녘이 하늘만을 믿던 아가다를 만나 세상이 금하는 신(神)을 믿어 가는 과정과, 그 신을 믿기 위해 목숨 건 교우들과 이들을 추적하고 탄압하는 무리들의 팽팽한 갈등을 담고 있다. 순교자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인 ‘치명록’의 형식을 차용하여 액자식 구성을 띤 작품은 3권에 걸쳐 정해박해를 기점으로 전후에 일어난 천주교박해를 배경으로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가는 교인들의 시간을 따라간다. 1권에서는 곡성 교우촌에서 마을 사람들과 함께 옹기를 만들며 사랑을 빚는 시간을, 2권에서는 천주교인과 첩자, 군관이 숨고 달아나고 쫓고 쫓는 추적의 시간을, 3권에서는 옥 안팎에서 다시 신부를 모셔오기 위한 움직임과 기다림의 시간을 담고 있다. 정해박해의 진원지, 곡성에서 구상하고 집필하다 작품 속 공간을 실제 방문하여 탄탄하게 고증하는 것으로도 정평이 나 있는 작가는 이번에는 정해박해의 진원지인 곡성으로 집필실을 옮기고, 끌려온 교인들이 수감된 감옥터에 세워진 곡성 성당 근처에 거주하며 당시 천주교인들의 마음을 새기고 현장감을 더했다. 또한 조선에 유입되었던 한역서학서『천주실의』『직방외기』『칠극』등을 비롯한 방대한 자료와 논문을 참고하여 19세기 천주교인들의 삶을 생생히 재현하였다. 당시 사용했던 세례명과 ‘탁덕, 첨례’ 등의 천주교 용어는 물론, 조선 풍속부터 천주교인의 생활 모습, 옹기촌에서 옹기를 만들고 팔던 것부터 감옥에서 고문하는 방법까지 세밀하게 묘사하여 시대적 분위기를 살렸다. 이를 통해 천주를 믿던 이들의 고민과 생각을 따라가며 그들의 질문과 절박함을 단정한 문체로 풀어냈다. 작가는 각 권마다 시대를 교차하여 이야기를 들려주고, 중심인물을 달리하며 마치 독립된 소설을 읽는 듯한 재미를 선사한다. 1권은 정해박해 전 들녘과 아가다를 중심으로, 2권에서는 정해박해 당시 곡성 교우촌 교인들을 중심으로, 3권에서는 정해박해 후 11년간 옥에 갇힌 천주교인을 중심으로 전개해 간다. 그 신을 믿어 당신의 삶이 조금 더 따뜻해지기를 수많은 갈등이 터져 나오고 이로 인해 변화의 바람이 절실했던 19세기 조선.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누군가를 짓밟고 억압하며 이기적인 세계관에 갇혀 있는 지배계층. 그러한 사회에서 깊은 절망감을 느끼면서도 자기들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해 실력을 키우려는 민중들. 이러한 모습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처한 상황과도 별반 다르지 않다. 『사랑과 혁명』에 등장하는 교우들은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살아 있는 생명을 보호하고, 때로는 원수 같은 사람을 사랑하며 갈등을 평화롭게 극복하려 한다. 이처럼 길이 없는 곳에 길을 내며 나아간 그들의 태도는 특정 종교에만 갇히지 않고, 특정한 시대에 한정되지 않는다.『사랑과 혁명』이 ‘종교소설이되 종교소설이 아니고 역사소설이되 역사소설이 아닌’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최근 소외된 사회적 존재들에 대한 관심과 생태환경 문제에 천착해 온 작가 세계의 확장을 담고 있기도 하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날이 선 긴장감을 내려놓고, 미움과 사랑, 의심과 믿음, 절망과 희망을 갈라 편을 나누지 않았다. 다만 우리가 어떤 신을 믿든 그 신을 믿어 우리 삶이 함께 조금 더 따뜻해지기를 바랄 뿐이다. 이 책은 천주를 믿든 믿지 않든 종교와 상관없이 억압된 사회에서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자 하는 이들에게 묵묵한 수호자의 역할을 해줄 것이다. 주요 등장인물 들녘(이시돌) 장선마을 세 바보 중 한 명이자 벼농사를 기도하듯 짓는 타고난 농사꾼. 7년간 소작농으로 살며 수확량도 월등했지만 계속 쌓이는 빚을 감당 못하고 나무꾼이 된다. 아가다를 연모하여 옹기촌 덕실마을로 들어가고 생질꾼으로 일하며 그녀와 함께하기를 꿈꾼다. 점점 신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된다. 길치목(시몬) 장선마을 세 바보 중 한 명이자 산포수. 날쌔게 산을 오르고 짐승들을 모는 명사수의 실력을 갖췄다. 덕실마을의 한 여인을 연모하여 교인들과 교류하고 그들 곁을 맴돈다. 장구(귀도) 장선마을 세 바보 중 한 명이자 거지. 날 때부터 오른쪽 몸을 쓰지 못했다. 마을에서 동냥하며 다섯 마리 거위를 가족처럼 여기며 살아가다 장애가 사라지는 기적을 체험한다. 공설이(아가다) 동정을 지키고자 맹세한 덕실마을 산도깨비 대장. 언제나 성경 말씀에 따라 말하고 행동하는 살아 있는 성녀와도 같지만, 들녘으로 인해 크게 흔들린다. 이오득(야고버) 덕실마을 옹기 대장. 소인정과 공원방과 한때 순교를 약속한 사이였으나 좌포도청에 끌려가 배교하고 목숨을 건진 뒤 회두한다. 수십 년간 곳곳에 교우촌을 만들어 이끈다. 소인정(요안) 서학서를 번역하고 필사하는 교인들의 정신적인 스승. 이오득과 함께 배교한 후 회두한다. 조선에 신부를 다시 모셔오기 위해 발 벗고 나선다. 공원방 좌포도청 간자. 한때 이오득과 소인정의 벗이었으나 두 사람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4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