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의 휴머니즘

디디에 오타비아니님 외 1명
16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들어가는 글 푸코는 휴머니스트인가? 1부 고고학적 방법론 언표 문서고와 에피스테메 언어와 배제의 절차들 진실의 계보학 2부 인간과 인간적인 것 인간의 죽음 휴머니즘 인간에 대한 담론으로서의 광기 3부 규율 사회 권력 일망 감시 체제 해부-정치: 온순한 신체 정상화 내치 생명 관리 정치 4부 자기 통치와 타자의 통치 분산된 주체 주체화의 방식 자기 배려 통치성 5부 인간을 사유하고 저항을 사유하기 주요 참고 문헌 옮긴이의 말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저자와 삽화가가 함께 만들어 가는 새로운 개념의 철학 시리즈 <철학 스케치> <철학 스케치>는 저자와 삽화가가 기획과 저술 단계에서부터 공동으로 참여해 위대한 철학자들의 핵심 철학을 쉽고 재미있게, 그러면서도 개성 있게 포착해 낸 새로운 개념의 철학 시리즈이다. 난해한 철학 용어나 개념을 앞세우기보다는 재치와 해학이 넘치면서도 깊이가 있는 글쓰기를 바탕으로 삼는 한편, 그에 걸맞은 개성 넘치는 삽화를 페이지마다 곁들여 <즐기는 철학>, <보는 철학>의 맛을 살리고자 했다. 무엇보다 삽화가 보조적인 역할에 그치는 기존의 책과 달리 이 시리즈는 철학을 그야말로 <형상화>했다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삽화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바, 들뢰즈와 가타리의 생각을 크로키로 빠르게 스케치하거나, 니체의 머릿속에서 번져 나가는 사상을 수묵화로 그려 내거나, 스피노자의 치밀한 논리를 정밀화로 담아내거나, 푸코의 삐딱한 시선을 풍자성 짙은 카툰으로 압축하는 등 그야말로 철학의 대가, 그 머릿속을 핵심적으로 묘사한다. 현재 『스피노자의 동물 우화』와 『미셸 푸코의 휴머니즘』이 출간된 상태이며, 2011년에 『잠에서 깬 니체』, 『무한 속도의 들뢰즈와 가타리』가 출간될 예정이다. 푸코가 일으킨 최후의 스캔들 1970년대에 사람들은 미셀 푸코를 히틀러의 앞잡이로 취급하면서 그를 매장하려 한 바 있다. 푸코가 『말과 사물』에서 <인간의 죽음>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인간의 죽음>의 맥락을 오독한 나머지 그것을 <인권> 침해로 생각했다. 하지만 푸코가 실제로 선언한 것은 19세기 지식의 형상, 지식의 주름으로서 인간 개념의 죽음이었다. 푸코가 선언한 <인간의 죽음>은 심리학, 사회학, 정신 의학 등과 같은 인간학의 주된 준거 대상인 19세기 <인간> 개념에 국한된 것이었다. 푸코가 선언한 <인간의 죽음>, 자기의식의 진보로 간주되는 역사 개념의 거부, 인간학에 대한 비판, 주체의 소멸은 휴머니즘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 책은 역으로 어떻게 이것들이 그 안에 푸코가 자신의 저작을 통해 부단히 소묘해 온 새로운 휴머니즘의 싹을 가지고 있는지 보여 주고자 한다. 권력이 만들어 낸 19세기형 인간 근대 자본주의가 싹트기 시작하면서 인간은 자신의 사회적 신분, 직위, 역량 등에 따라 제자리를 부여 받게 된다. 이것을 가능하게 만든 힘은 권력이다. 공장이 되었건, 학교가 되었건, 병원이 되었건, 병영이 되었건 간에 권력은 개인의 가장 내밀한 제스처와 그것의 물질성에까지 침투해 작용을 가하고 행동의 내면까지 파고들어 활동을 통제하려는 일련의 전략과 전술의 총체가 된다. 권력은 신체들을 결합해 최대의 유용성을 끌어내려고 한다. 바로 이것이 힘들의 총합이다. 그렇기 때문에 푸코는 권력이 솔선수범해서 사용하는 훈육 테크닉과 사회체의 다양한 층위에서 다양한 개인들을 조련하는 권력의 세밀한 절차들을 연구한 것이다. 그래서 신체의 행동에 규범을 부과하는 것이 권력 행사의 관건이 된다. 요컨대 작업장, 학교, 병영 등 도처에서 규율 테크닉은 규범화를 확보하려 하고 이를 위해 미시적인 처벌들을 활용한다. 미시 권력은 정치권력과 동일하게 억압적이고 오히려 더 억압적일 수 있다. 아무튼 미시 권력은 더 교묘하고 섬세하며 음험하게 행사된다. 다시 말해 정치권력보다 훨씬 더 비가시적인 방식으로 행사된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 편재하는 미시 권력에 저항할 수 없는 무기력한 존재인 것일까? 감시받아 마땅하고 관리받아 마땅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공동체가 사회라는 것을 체념적이고 숙명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일까? 다양한 층위에서 작동하는 권력과 그 미시 권력이 우리에게 강요하는 예속으로부터의 해방을 시도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일까 푸코는 인간을 자기 자신과 화해시키고 규범의 <폭정>으로부터 인간을 해방하려고 시도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그는 인간을 예속하는 권력 게임에 저항할 수 있는 새로운 미학적·윤리적 대항 품행과 대항 담론, 저항의 정치 전략을 창조하려 시도한다. 그는 19세기의 미시 권력과 인간학이 합작한 <인간>이라는 예속된 주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성>을 창조해 내려 시도한다. 진정한 휴머니즘을 위한 행동 강령 우리가 끊임없이 받아들여야만 하는 예속화와 그것이 작동하는 방식을 명확히 해명하고 또 권력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푸코는 저항에 필요한 무기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분석만으로는 저항적 사유의 공간을 열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푸코는 연구의 틀을 변형하게 되고 또 주체화 및 그 방식에 관심을 집중한다. 그래서 그는 잠시 방치했었던 주체성의 역사라는 틀에 자신의 사유를 다시 삽입한다. 자기 배려는 우리의 근대성이 망각해 버린 고대의 전통과의 관계를 회복해서 우리의 주체를 구축하고 우리를 포위하고 있는 예속의 절차를 벗어나 우리를 주체화할 수 있게 해준다. 자기 배려를 다시 활성화함으로써 푸코는 우리에게 새로운 형태의 휴머니즘의 문을 연다. 이 휴머니즘은 외부에서 부과된 사회적 도식들로부터 우리를 해방시킬 수 있다. 이 휴머니즘의 행동 강령은 자기로의 회귀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4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