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의 역사

버나드 베일린
20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Ⅰ. 대서양 역사의 개념 Ⅱ. 대서양 역사의 현황에 관하여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후주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역사학의 새로운 주제, 대서양의 역사 대서양 역사는 새롭게 등장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역사 연구 영역이다. 전통적으로 역사가들은 국가의 역사라는 관점에서, 곧 국민국가의 형성과 경제체제와 정치체제의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역사를 써왔지만, 최근에는 개별 국가를 넘어 더 큰 지역 단위를 연구와 저술의 틀로 간주하기 시작하였다. 일찍이 지중해 세계는 북아프리카, 유럽 남부, 근동의 여러 국가와 국민을 포함하는 지역 통합체로서 광범위한 연구의 주제가 되었다. 아날학파를 대표하는 역사가 페르낭 브로델의 『펠리페 2세 시대의 지중해와 지중해 세계』가 그 대표적인 예라 하겠다. 좀더 최근에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서유럽과 아프리카를 포함하는 대서양 세계가 역사 탐구의 단위로 주목받고 있으며, 대서양 세계에 관한 연구와 토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발맞춰 한국 역사학계에서도 전 지구적 관점에서 역사를 조명하는 지구사에 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미국 역사학계에서 대서양 역사 연구를 주도해온 인물이 바로 이 책을 쓴 버나드 베일린 교수이다. 미국역사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4번의 퓰리처상(저서 3권, 편저 1권)을 비롯해 여러 저술상을 받은 베일린 교수는 미국 역사학계를 대표하는 역사가이며 혁신적인 연구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끼쳐왔다. 베일린 교수는 1970년대 후반부터 미국을 대서양 세계의 일부로 파악하고, 미국의 형성과정을 해명하기 위해 대서양 세계의 역사를 조명해왔다. 또한 십수년 동안 하버드 대학에서 대서양 역사 세미나를 주도해왔으며, 이 책 『대서양의 역사』는 세미나에서 수많은 학자들과 주고받은 활발한 연구와 토론의 산물이다. 대서양 역사의 개념과 현황 대서양 역사라는 주제의 기원과 발전, 그리고 역사 탐구에 미친 영향을 추적하는 이 책은 크게 2부로 나뉜다. 1부에서는 역사가들이 어떻게 대서양 세계 전체를 포괄하는 관점에 도달했는지 보여준다. 베일린에 따르면, 역사가들은 순수한 학문적 관심 때문에 갑작스레 대서양 세계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인 것이 아니다. 역사가들이 대서양 역사를 역사적 개념으로, 세계의 발전에서 근본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게 된 과정은 그 자체로 하나의 역사이다. 베일린은 20세기 후반의 공적 영역과 역사학의 내적 역학, 그리고 역사가들을 둘러싼 사회적 상황을 조명함으로써 이 과정을 보여준다. 2부에서는 신대륙 발견 이후 300년 동안 대서양 세계가 발전해온 역사를 큰 그림으로 그려 보인다. 여기에는 유럽인들이 신세계 토착민들의 세계에 들이닥치면서 벌어진 잔혹한 전쟁, 신세계라는 순수한 땅에 신의 왕국을 건설하려 했던 유토피아주의, 아프리카인들의 노예화와 노예무역, 대서양 세계를 촘촘히 연결한 무역망과 대규모 불법 무역, 기독교 교파들의 정교한 조직과 선교행위 등이 포함된다. 버나드 베일린 교수가 조명하는 근대 초 대서양 세계의 역사는 어떻게 오늘날과 같은 전 지구적 세계가 형성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2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