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렉의 물리학

로렌스 크라우스
304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8(19명)
0.5
4
5
평가하기
3.8
평균 별점
(19명)
코멘트
더보기
[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광고] 위기브 고향사랑기부제 보드배너

개정증보판으로 스티븐 호킹이 서문을 썼다. <스타 트렉>의 우주와 실제 우주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라는 질문부터 <스타 트렉>에 도입된 과학이론과 기술은 논리적으로 타당하며 실현가능한가? 라는 물리학도들의 질문까지 입자물리학과 우주론을 연결하는 대표적인 이론물리학자가 답변한다. 컴퓨터와 정보고속도로부터 시작하여 양자역학, 핵 에너지, 망원경 설계, 생명공학, 그리고 심지어는 인간의 영혼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기술은 놀랄 만큼 발전을 해 왔다. 과학의 발전에 상상력을 첨가한 <스타 트렉>은 과학계 및 일반인들에게 많은 흥미를 불러일으켰으며 과학 연구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드라마 제작 당시에는 가상의 기술이었으나 현재는 부분적으로 실현되고 있는 기술도 알려준다.

별점 그래프
평균 3.8(19명)
0.5
4
5

저자/역자

코멘트

1

더 많은 코멘트를 보려면 로그인해 주세요!

목차

서문-스티븐 호킹 저자서문 개정증보판 서문 제1부 우주 포커 게임 제1장 뉴턴, 판돈을 걸다 제2장 아인슈타인, 판돈을 올리다 제3장 호킹, 손을 들어올리다 제4장 데이터, 게임을 끝내다 2부 만유의 물질, 물질들 제5장 원자냐, 비트냐? 제6장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에너지를 얻으려면 제7장 홀로데크와 홀로그램 제3부 보이지 않는 우주, 밤만 되면 소란스러운 것들 제8장 스퍽을 찾아서 제9장 이동식 동물원 제10장 불가능한 것들 : 찾을 수 없는 나라

출판사 제공 책 소개

2266년 우주로 탐사를 떠나는 엔터프라이즈 호와 승무원의 모험담을 그린 SF의 명작인 ‘스타 트렉’이 방송된 지 올해로 40여년이 된다. 인류가 달에 착륙하여 발자국을 남기기기도 전에 스타 트렉은 많은 사람들을 우주로 이끌었다. 실제로 현재에도 구현하기 어려운 인공지능 로봇과 나노로봇의 활약이 스타 트렉에서는 순간이동, 블랙홀과 같은 당시에는 상상할 수 없는 개념으로 등장했다. 또한 시간여행, 초광속 비행, 전향 보호막, 웜홀, 그리고 다른 여러 가지 신기한 시공간의 현상들은 관성 제어기와 견인광선을 만들어낸 물리학의 도움으로 그 실현을 눈앞에 두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우주여행은 우리 가까이 다가오고 있다. 더 이상 꿈꾸고 동경하는 과학기술이 아님을 실감하게 된다는 것이다. 화려한 영상 속에 뿌려진 <스타 트렉> 작가들의 뛰어난 상상력에 의해 과학계에 커다란 지각변동을 일으켰으며 과학 연구의 소재가 되고 가능성을 던져주는 일이 되고 있다. 이처럼 가상의 과학기술이 드라마에 도입되고 컴퓨터와 정보고속도로부터 시작하여 양자역학, 핵 에너지, 망원경 설계, 생명공학, 그리고 심지어는 인간의 영혼에 이르기까지 과학의 기술은 놀랄 만큼 발전을 해 왔다. 여기에 초광속 비행과 시간여행 개념 등의 매혹적인 이야깃거리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할 것이다. 이 책은 이런 TV영화 <스타 트렉>에 대한 관심으로 13년 전에 쓰여졌던 ≪스타 트렉의 물리학≫의 개정증보판이다. <스타 트렉>의 우주와 실제 우주 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라는 초판 출간 이후 공상과학영화를 보며 시청자들이 가졌던 보편적인 질문에서부터 <스타 트렉>에 도입된 과학이론과 기술은 논리적으로 타당하며 실현가능한 것들인가? 라는 물리적인 과학 지식을 가지고 있는 물리학도들의 질문까지 그 해답에 대해 우주와 물리학에 관한 이야기를 간결하면서도 조리있게 소개해 주고 있다.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3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