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우리의 세상, 우리의 삶 제1장 공동체의 천상: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정체성과 의미 정체성의 구성 신의 천국: 종교적 근본주의와 문화적 정체성 세계화 시대의 민족과 민족주의: 상상의 공동체인가, 공동체의 상상인가 속박 없는 인종: 네트워크 사회에서 인종과 계급, 그리고 정체성 영토적 정체성: 지역 공동사회 결론: 정보시대의 문화적 공동체 제2장 지상의 다른 면: 새로운 지구적 질서에 대항하는 사회운동들 세계화, 정보화, 사회운동 멕시코의 사파티스타: 최초의 정보 게릴라 운동 신세계질서에 대항한 무장봉기: 미국의 시민군과 애국자 운동 묵시록의 승려들: 일본의 옴진리교 알카에다, 9·11과 그 이후: 신의 이름으로 수행되는 전 세계적 테러 대표 없는 세계화 반대!: 반세계화 운동 신세계질서에 대항하는 저항의 의미 결론: 세계화에 대한 도전 제3장 자아의 녹색화: 환경운동 환경주의의 창조적 불협화음: 유형론 녹색화의 의미: 범사회적 쟁점과 생태주의자들의 도전 행동하는 환경주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자본을 길들이기, 국가를 심판하기, 미디어와 함께 탭댄스 추기 환경정의: 생태주의자들의 신천지 제4장 가부장주의의 종언: 정보시대의 사회운동, 가족, 섹슈얼리티 가부장적 가족의 위기 노동하는 여성 자매애는 강력하다: 페미니스트 운동 사랑의 힘: 레즈비언과 게이 해방운동 가부장제 위기하의 가족, 섹슈얼리티, 인성 가부장제의 종언? 제5장 세계화, 정체성, 그리고 국가: 권력 없는 국가인가, 네트워크 국가인가? 세계화와 국가 다자주의 시대의 국가 글로벌 거버넌스와 국민국가 네트워크 정체성, 지방정부, 그리고 국민국가의 해체 국가의 정체성화 국가의 귀환 국민국가의 위기, 네트워크 국가, 국가론 결론: 우주의 왕, 손자, 그리고 민주주의의 위기 제6장 정보정치와 민주주의의 위기 서론: 사회의 정치학 정보시대 정치 공간으로서의 미디어 정보정치의 작동: 스캔들 정치 민주주의의 위기 결론: 민주주의의 재건? 결론: 네트워크 사회에서의 사회적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