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백선기
368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1. 영화, 기호학, 기호학적 분석 방법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의미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예 <친구>의 기호학적 분석 <올드 보이>의 기호학적 분석 <친절한 금자씨>의 기호학적 분석 <복수는 나의 것>의 기호학적 분석 <왕의 남자>의 기호학적 분석 영화 포스터의 기호학적 분석 텔레비전 영상화면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카메라 숏 기법의 의미와 피스크(J. Fiske)의 텔레비전 부호의 의미 영상화면에 대한 바르트(R. Barthes)의 ‘외시의미, 함축의미, 신화’ 분석 텔레비전 보도 영상의 서사구조와 담론 분석 영화 분석에 적용 가능한 기호학적 분석 방법 영화, 그 기호학적 분석의 즐거움 2. 영화에 대한 기호학과 정신분석학의 통합적 분석 영화 분석과 라캉의 개념과의 연계 라캉의 주요 개념 욕망에 대한 개념적 정의 상상계·상징계·실재계의 개념 및 연계성 영화 관련 정신분석학 개념 라캉의 개념을 통한 <올드 보이> 분석 서사구조 공간 및 시간체계 모티브 라캉의 개념 적용과 기호학적 분석의 의미 3. 영화에 대한 그레마스의 기호 개념과 구조 분석 복수영화 장르에 주목하는 이유 영화 분석의 프레임과 주요 분석 방법 <친절한 금자씨>에 대한 분석 서술구조 서술구조에 나타난 행위주들의 관계 행위주 모델을 근간으로 한 서사의 장르적 패턴 의미구조 <복수는 나의 것>에 대한 분석 서술구조 영화에 나타난 행위주들의 관계구조 행위주 모델을 근간으로 한 영화 장르적 패턴 한국 복수영화의 장르적 특성과 함축의미 4. 영화에 대한 메츠의 거대 통합체 분석 <왕의 남자>에 주목하는 이유 영화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의미 <왕의 남자>에 나타난 결핍, 욕망 및 갈등의 기호학적 분석 <왕의 남자>의 서사구조: 거대 통합체 분석 <왕의 남자> 공간(놀이판)의 함축의미 <왕의 남자> 등장인물의 갈등관계 <왕의 남자>의 단락별 서사구조와 의미 <왕의 남자>의 단락별 등장인물의 대립구조와 의미 <왕의 남자>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 의의 5. 영화 포스터의 의미소 분석과 신화 분석 영화 포스터에 주목하는 이유 영화 포스터 분석의 프레임과 주요 개념 신화 여성 관련 신화 및 이데올로기 멜로 영화 포스터의 기호학적 분석 시대별로 변화된 여성 이미지와 이데올로기 신화 분석과 그레마스 개념을 통해 본 영화 포스터의 여성 이미지 영화 포스터 이미지의 함축의미 참고문헌 찾아보기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