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최고 문학상 3개 동시 수상작!
공쿠르상, 메디치상, 고등학생들이 선정하는 공쿠르상 수상
안드레이 마킨은 모스크바에서 공부를 마치고 노브고로드에서 철학을 가르쳤다. 1987년 프랑스를 여행하던 중 정치적 망명을 한다. 그러나 그의 생활 조건과 주거 조건은 매우 열악해서 파리의 빈민가라고 할 수 있는 벨빌과 메닐몽탕 사이에 작은 방 하나를 얻어 살았으며, 한때는 페르라세즈 공동묘지에 있는 지하묘소에서 지내기까지 했다. 글을 쓰는 것도 쉽지 않아 프랑스어로 쓴 그의 원고는 번번이 퇴짜를 맞았다. 출판사 입장에서는 러시아 출신 작가가 세 살 때부터 프랑스 출신 할머니에게 배운 제 2 외국어인 프랑스어로 직접 작품을 쓴다는 사실을 쉽게 받아들이기가 힘들었다. 다행히 그의 섬세한 서정을 높이 산 한 편집자의 도움으로 문장을 다듬어 펴낸 것이 1995년 『프랑스의 유언』. 이 작품은 프랑스 최고 문학상인 공쿠르상과 고등학생들이 선정하는 공쿠르상, 그리고 메디치상까지 3관왕의 주인공이 되었다. 프랑스 문학계는 러시아 출신 안드레이 마킨을 당당한 프랑스 작가로 인정했다.
안드레이 마킨을 세계적인 작가로 만든 것은 향수 어린 기억의 힘이다.
기억은 하나의 추억이 아니라 삶 자체이다
『프랑스 유언』은 여름이면 시베리아 초원지대의 외할머니댁을 찾는 주인공 소년과 그의 할머니 샤를로트 르모니에의 삶에 관한 이야기다. 이 여성 존재의 삶을 지켜보는 것은 곧 프랑스의 역사에 대한 증언뿐만 아니라 20세기 러시아의 역사에 대한 증언을 만나는 일이다. 『프랑스 유언』이 가진 이 같은 측면은 작품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길잡이 가운데 하나다. 격동의 역사를 살아온 외할머니가 전하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서정과 프랑스의 이미지를 그려낸다.
작가에게 새로운 세계로 이어지는 문을 열게 해 주는 것은 바로 이 프랑스어라는 언어다. 작가는 기억과 읽기, 쓰기 사이의 관계에 대해 끈질기게 성찰하고 분석한다. 읽고 쓴다는 것, 그것은 곧 미지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서 그 세계가 우리 눈앞에서 다시 살아나도록 하는 일이다. 잊혀진 세계가 살아남는 것은 바로 언어를 통해서다.
“이 짧은 몇 마디가 기적을 불러일으켰다. 왜냐하면 나는 별안간 내 오감을 통해 그 우아한 세 여인들의 미소가 정지시켜 놓았던 순간 속으로 들어갔던 것이다.”
마킨에게 글을 쓴다는 것은 결국 체험하지 않은 것을 기억하는 것이다. 그것은 곧 시간의 경계를 파괴하고 과거로 이동하는 것이다.
“기억은 하나의 추억이 아니라 삶 자체이다. 나는 회상하는 것이 아니라 체험하는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