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제공 책 소개

기초가 아닌 기초조형 기대와 불안이 섞인 시각으로 맞이했던 21세기도 어느덧 10년 가까이 지나간다. 이 시점에서 ‘기초’라는 의미를 다시 한 번 되돌아본다.> 과연 ‘기초’는 무엇일까? 이것을 ‘기본(base)’이며 ‘근본(root)’이라 정의한다. 즉, 가장 중요한 요소와 방법, 그리고 사고(생각)로 보는 것이다. 기초조형의 의미해석은 다양할 수 있겠으나 이 연구에서는 ‘기본이며 근본이 되난 조형연습’으로 해석하여 수행한다. 조형 행위의 과정을 고찰해 볼 때, 시작은 조형 수행자의 ‘사고’에서 출발하며 수행자가 조형에 관한 ‘철학’을 가지고 있으면 그 가치는 더육 높아진다. 따라서 조형적 사고라는 명제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것은 기교와 표현 기법에 우선한다. ‘기초조형’이라는 의미는 조형 과정의 입문 단계에 소용되는 개념을 뜻하지 않는다. ‘가장 기본이 되는 사고’는 조형을 다루는 사람 모두가 고민하고 만들어가야 하는 필수요소이다. 디자인은 표면적인 효과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깊이 있는, 그리고 의미 있는 철학이 담겨져야 한다. 디자인에서 필요한 것은 ‘깊이 있는 철학’과 ‘사색적 사고방식’을 배양하는 것이다. 이것을 디자이너들의 ‘기초적인 사상’이라고 말하고 싶다. 개요 한국의 디자인은 대상을 보고 느끼는 감각적인 능력과 그림을 그리고 형상을 만드는 표현 능력이 크게 강조되어 온 반면, 생각하고 소통하는 능력의 개발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이것이 우리 디자인교육의 현실이다. 손재주와 감각은 뛰어나면서도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주목받는 국제적인 미술가나 디자이너가 많지 않은 것은 바로 이러한 불균형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조형물을 쉽고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컴퓨터와 프로그램의 빠른 보급으로 생각하는 능력의 불균형이 더욱 심화되는 현상까지 보여지는지도 모르겠다. 따라서 우리에게 현재 중요한 것은 가장 기본이 되는 사고방법을 교육에서 강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들을 분석하여 보다 나은 디자인교육으로 가는 경험을 쌓는 것이 기초조형의 첫 번째 목적이다. 기초조형학회 ‘형상+사유’ 시리즈 기초조형 thinking 조형 기획에 관한 내용으로서 고전적 정론과 새로운 실험을 균형 있게 담았다. 이 책은 우선 창의적 문제 해결에 관한 이야기와 창의성 사고기법을 소개한다. 이어서 창의적으로 생각하고 그 생각을 시각화하는 과정을 소개하고 있고, 색채와 느낌에 관한 시각적 표현, 그리고 독창적인 개념의 발상을 위한 실험적 시도를 다루게 된다. 기초조형 producing(출간예정) 수업에서 연구된 과제나 자료들을 적극 활용하고 풍부한 도판을 통해 책보다 보는 책의 성격을 띤다. 또한 재료와 도구, 다양한 조형적 접근 방법, 굿디자인 사례 등을 이야기한다. 제작 과정에서 중요한 조형 소재들을 전통적 소재, 재활용 소재, 디지털 소재, 신소재로 분류하여 소개한다. 기초조형 communication(출간예정) 먼저 근대미술과 현대미술 속에서의 기초조형을 알아본다.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조형언어의 흐름과 신기술 테크놀로지, 뉴미디어와 기초조형, 영상 커뮤니케이션, 패션과 조형언어, 공간 및 환경 조형 등 다양한 조형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의 의미를 알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