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프롤로그―낯선 중세를 위하여 제1부 쌍두마차의 사회 제1장 게르만의 대이동 1. 로마 세계와 게르만 사회 로마 세계의 위기 | 게르만 사회 2. 게르만의 대이동과 새로운 구조 게르만의 대이동 | 새로운 구조 제2장 왕과 국가 1. 왕국의 통합과 분열 메로베우스 왕조 | 카롤루스 왕조와 카롤루스제국 | 카롤루스제국의 붕괴 2. 봉건 왕정 제후령의 탄생과 성주의 지배 | 봉건제 | 프랑스?카페 왕조의 발전과 신성한 왕권 | 잉글랜드?노르만계의 지배와 대의제의 발전 | 독일?신성로마제국의 성립과 영방 제후의 지배 | 이베리아 반도·북유럽·동유럽 왕국들의 기독교화 3. 근대국가를 향하여 전쟁 | 국가의 탄생 제3장 교황과 교회 1. 교권과 속권의 제휴 교황 수위권과 황제 수위권 | 프랑크 왕국과의 제휴 | 신성로마제국과의 제휴 2. 교황 군주국의 발전 그레고리우스 개혁 | 십자군 전쟁 주도 | 중앙집권적 체제 정비 3. 교회의 분열 아비뇽 교황 시대 | 교회의 대분열과 공회의주의 운동 제2부 지배 문화와 주변 집단 제1장 성직자와 기독교 1. 성직자의 구별 평신도와의 구별 | 성직자의 세분 2. 수도사의 삶과 역할 수도원의 탄생과 수도사의 역할 | 봉건사회에서 수도사의 삶과 역할 | 도시 사회에서 수도사의 삶과 역할 3. 성직자 독신 문제 독신 주장의 논리 | 두 갈래 길 4. 포교 활동과 민중 기독교 사제의 의무와 사목 활동 | 민중 기독교 제2장 기사와 귀족 문화 1. 기사에서 귀족으로 기마 정면 충돌전 | 기사도 | 기사와 귀족의 통합과 분화 | 노블레스 오블리주 2. 사냥과 마상창시합 새사냥과 개사냥 | 집단난투에서 개별대결로 | 사회문화적 의미 3. 기사의 몰락과 귀족의 존속 기사의 몰락 | 신화와 존속 제3장 부르주아와 도시 문화 1. 도시와 부르주아 중세 도시의 성격 | 중세 도시와 부르주아의 출현 2. 도시 문화 봉건제와 코뮌 운동 | 기독교와 도시적 심성 | 대학 | 고딕 예술 3. 도시의 위기와 미래 도시의 위기 | 지역별 도시 발전의 유형 제4장 농민의 자유와 예속 1. 자유민과 노예 자유민과 노예의 기본 개념 | 분화 | 노예제의 쇠퇴 2. 영주의 지배와 농민의 조건 영주의 지배 | 농민의 의무와 부담 | 영농 기술과 생존 경제 | 농촌의 코뮌 운동과 자유 3. 반동과 재앙 봉건적 반동 | 재앙 제5장 소수 집단 1. 종교 소수자 이단자 | 유대인 | 마녀 2. 성 소수자 매춘 여성 | 동성애자 제3부 일상적 삶의 세계 제1장 일상의 시간과 공간 1. 시간 핼러윈의 탄생 | 타종 소리 2. 공간 가축과의 동거 | 화덕을 중심으로 제2장 음식과 옷 1. 빵과 고기 많이 먹기 | 양에서 질로 | 음식에도 위/아래가 있다 2. 로브 원피스에서 투피스로 | 옷은 몸의 표상이다 제3장 가족과 성 1. 핵가족과 양계제 핵가족 | 부계 우위의 양계제 | 모두가 하느님의 자식들?영적 친족제 2. 금욕주의와 자연주의 에덴동산에서 추방된 성 | 느슨한 성 풍속 제4장 태어나서 죽기까지 1. 어린 시절 탄생 | 어린이에 대한 태도 2. 청소년에서 어른으로 샤리바리 | 결혼 | 사교 생활과 염치의 윤리 3. 노년에서 죽음으로 노년은 없다 | 우리는 모두 죽는다 제5장 죽음 이후의 세계 1. 애도와 추모 망자와 생자의 공존 | 교회, 죽음을 장악하다 | 나르시시즘적 죽음 2. 저승 세계와 사회 현실 기독교적 저승 | 저승은 현실을 모방한다 제4부 신앙과 상상의 세계 제1장 신앙과 기적 1. 여성의 신비주의 신앙 신비주의 | 성 카테리나의 경우 | 여성에게 음식이란 무엇인가? 2. 성인 유골 훔치기 성인 유골 숭배 | 훔치기의 유형 | 훔치기의 정당화 제2장 민속과 기독교 1. 부적 부적에 대한 교회의 태도 | 기독교 부적 | 부적의 제작과 활용 2. 어린이를 치료하는 개 예화 | 민속 문화의 장기 지속 | 의례의 민속적 의미 | 민중 기독교 제3장 전설과 상상 1. 늑대 인간 전설들 | 생령의 변신 | 가정을 파괴하는 아내 2. 요정 멜뤼진 전설들 | 가문을 번성시키는 아내 제4장 향신료와 환상 1. 향신료와 천국의 향기 향신료의 용도와 매력 | 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