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_ 쓰레기 데이터로는 쓰레기 분석밖에 나오지 않는다! 01_겨우 900가구의 데이터만 있으면 OK? 02_그 데이터, 믿을 수 있을까? 03_통계학,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 04_유용함을 알기 위한 3가지 통계 퀴즈 1장_ 급할수록 서두르자, 통계학 훑기 01_'통계학 지도'를 머릿속에 넣어두기 02_원시 데이터를 1개의 대푯값으로: 기술 통계학 ① 03_데이터의 흩어짐 정도: 기술 통계학 ② 04_표본으로 생각하기: 추측 통계학 ① 05_셜록 홈즈처럼 추리하기: 추측 통계학 ② 06_가설 세워 검증하기: 추측 통계학 ③ 07_통계분석, 다변량분석이란? 08_기존 통계학 vs. 베이즈 통계학 2장_ 데이터와 그래프 처리에서 큰 실수 피하기 01_연속량 데이터와 비연속량 데이터? 02_척도로 데이터 분류 03_명목척도는 '서울=1'처럼 임의로 값을 매긴 데이터 04_서열척도는 '순위' 데이터 05_등간척도와 비율척도? ■ 통계학 세미나 - 퍼센트와 포인트의 구분 06_원그래프를 사용할 때 주의점 ■ 통계학 세미나 - 나이팅게일의 '닭 볏' 3장_ 평균과 분산 이해하기 01_평균은 대푯값의 대표? 02_특잇값에 강한 '중앙값' 03_가장 많은 데이터가 '최빈값' ■ 통계학 세미나 - 암호 해독에 이용해온 '최빈값' 04_평균, 중앙값, 최빈값의 위치 관계는? 05_산포도를 나타내는 '사분위수·상자수염그림' 06_평균에서 '분산'으로 07_'분산'으로 산포도 계산하기 08_'분산'에서 '표준편차'로 09_표준편차 계산하기 ■ 통계학 세미나 - 일기예보의 '평년 기온'이란 평균? 중앙값? 4장_ 정규분포 체감하기 01_데이터로 도수분포표 만들기 02_히스토그램에서 쌍봉형을 발견했다면? 03_히스토그램에서 분포곡선으로 04_정규분포 움직이기 ①: 평균 변경 05_정규분포 움직이기 ②: 표준편차 변경 06_정규분포로 확률 보기 07_'관리도'를 이용한 품질관리 ■ 통계학 세미나 - 엑셀로 정규분포 만들기 08_2개의 서로 다른 정규분포를 1개로? 09_여러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정규분포 10_서로 다른 두 집단 비교 ■ 통계학 세미나 - 앙리 푸앵카레와 동네 빵집의 인정사정없는 다툼 5장_ 표본을 이용하여 모집단의 특징 추정하기 01_무엇을 '추정'할까? 02_통계학 용어 정리 03_'점추정'은 맞을 수도 있다? 04_'평균값의 평균' 분포와 중심극한정리 05_구간으로 나타내는 '구간추정' 06_표본 수가 많아지면 어떻게 달라질까? 07_99% 신뢰도일 때의 구간추정 08_t 분포, χ2 분포 09_시청률 등은 어떻게 추정할까? 10_설문조사 응답 수는 얼마가 적당할까? ■ 통계학 세미나 - 스튜던트 t 분포 6장_ 가설을 세우고 올바른 가설인지 확률로 판단하기 01_가설검정은 홍차부인으로부터 시작되었다? 02_가설검정이란? 03_단측검정? 양측검정? 04_가설검정 순서 05_검정에서 조심해야 할 두 가지 실수 에필로그_ '사람의 직감'은 의외로 믿을 수 없다? 01_상품은 어디에 있을까? 확률은 1/2? 02_난치병의 양성 반응을 어떻게 판단해야 할까? ■ 통계학 세미나 - 요코즈나가 '평균 이하' 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