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백문백답을 열며 001 다산의 4종 일기, 어떤 글인가? 002 4종 일기의 작성 시기와 정리 시점은 언제였나? 003 다산의 일기를 어떻게 읽을까? 004 젊은 날의 다산은 어땠나? 금정일록 005 <금정일록>의 기사와 동선은 어떻게 짜였나? 006 주문모 신부 실포 사건과 <금정일록>은 어떤 관계가 있나? 007 다산과 한영익은 어떤 관계였을까? 008 박장설의 상소는 왜 문제가 되었나? 009 다산은 왜 하필 금정으로 좌천되었을까? 010 정조가 제시한 다산 좌천의 이유는? 011 수원유수 조심태가 다산에게 한 이야기의 의미는? 012 다산은 왜 이승훈을 ‘이형’이라고 불렀을까? 013 당시 금정역의 건물 구성과 환경은 어땠나? 014 당시 다산에게 주어진 금정찰방의 역할은? 015 관찰사 유강에게 보낸 편지 속 ‘즙민지방’은 무슨 뜻인가? 016 다산이 홍주목사 유의에게 보낸 편지의 의미는? 017 채씨 집성촌과 다산 주변 채씨의 그림자를 어찌 볼까? 018 8월 5일 다산이 이삼환과 주고받은 편지의 내용은? 019 이인섭이 다산에게 편지를 보낸 이유는? 020 당시 호남에서 벌어진 선동의 내막과 내용은? 021 석문 진사 신종수와의 교유는? 022 다산이 검거한 천주교인 김복성의 실체는? 023 김복성과 금정 역졸들의 천주교 조직은 어떻게 구성되었나? 024 다산이 당시 금정에서 천주교 신자들을 대상으로 행한 일은? 025 이익운은 8월 17일에 왜 다산에게 시를 보냈을까? 026 다산이 한강동과 천방산의 한산이씨 일문을 방문한 목적은? 027 다산은 홍주목사 유의와 만나 무슨 이야기를 나눴나? 028 다산과 방산 이도명의 갈등과 충돌 내막은? 029 오서산 일원의 유람 목적은 무엇이었나? 030 다산과 이삼환이 주고받은 두 번째 편지의 행간은? 031 북계 진사 윤취협을 찾은 목적은 무엇이고, 한백원과 함께한 백제 유적 여행은 어땠나? 032 공주에서 만난 오국진과 권기는 어떤 사람인가? 033 ‘성주산의 일’은 무엇을 말하나? 034 장령 이유수와 이일운의 잇단 방문과 관찰사가 보낸 답서의 내용은? 035 이존창의 검거는 언제 어떻게 이루어졌나? 036 윤규범의 시와 이익운의 편지에는 어떤 행간이 있나? 037 이기경은 왜 난데없이 다산에게 편지를 보냈을까? 038 다산의 답장은 왜 그토록 격렬했나? 039 다산이 이삼환에게 보낸 편지의 맥락은? 040 공주 창곡 관리의 난맥상을 고발한 장시의 내용은? 041 강학회 직전에 이도명은 왜 다산에게 편지를 보냈나? 042 서암강학회의 일정과 일과는 어땠고, 분위기는 어떠했나? 043 서암강학회의 참석자는 누구며, 어떤 성격의 모임이었나? 044 <서암강학기>는 어떤 내용이고, 왜 썼나? 045 이승훈은 어째서 <서암강학기> 참석자 명단에서 누락되었을까? 046 이광교가 보내온 편지와 다산의 답장은 무슨 이야기를 담았나? 047 <도산사숙록>은 어떤 글이고, 왜 썼나? 048 <도산사숙록>에서 다산은 자신에 대해 어떻게 반성했나? 049 존덕성 도문학 공부에 관한 논의가 왜 자꾸 나올까? 050 다산은 왜 11월 윤취협에게 편지를 보냈고, 편지의 좌명은 누구인가? 051 강이원에게 보낸, 윤기환에 대한 다산의 청탁 편지는 어떤 맥락에서 나왔나? 052 강학회 이후 지은 시의 분위기는 어땠나? 053 11월 27일에 이승훈에게 보낸 편지의 의미는? 054 이치훈은 어떤 사람이었나? 055 이삼환의 다산에 대한 평가는 어땠나? 056 이삼환이 ‘지방지술’을 특별히 말한 이유는? 057 다산은 왜 역촌 부로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나? 058 이가환과 주고받은 편지의 맥락은? 059 허적의 관작 회복 소식에 다산은 왜 이렇게 기뻐했나? 060 다산이 채제공에게 직접 편지를 보낸 속내는? 061 어느 따스한 겨울날의 기억은 왜 새로웠을까? 062 이 시점에 다산은 왜 관찰사 유강에게 편지를 보냈을까? 063 포폄제목과 이정운의 시를 본 다산의 소회는? 064 마침내 상경하게 된 다산의 감회는 어떠했나? 065 다산의 금정 시절은 그에게 어떤 기억을 남겼을까? 066 다산은 왜 이존창 문제로 이익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