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증보판을 펴내며 1부 _신화와 역사 만들기 1 힌두교와 카스트 사회 구조 간의 역사적 상호성 : 올바른 힌두교 연구를 위하여 2 고대 인도에서 신화와 권력의 정당화 3 『마하완사』와 『삼국유사』에 나타난 불교 역사관 4 가락국 허왕후 도래(渡來) 설화의 재검토 : 부산·경남 지역 불교 사찰 설화를 중심으로 5 고대 힌두교에서 지존위 쉬바와 우빠니샤드 이데올로기 6 산스끄리뜨 딴뜨라에 나타난 여신 숭배가 갖는 사회 통합의 의미 2부 _식민주의, 민족주의 그리고 역사 만들기 7 고대 인도 정치 연구에서 텍스트와 컨텍스트의 문제 : 신동양학적 접근에 대한 비판 8 고대 인도사에는 여성이 있는가? : 식민주의와 민족주의의 여성사 기술에 대한 비판적 검토 9 인도의 다문화주의 : 근대주의와 식민주의를 넘어서 10 20세기 후반 미국에서 ‘종교사’와 힌두교 만들기 11 아리야인 인도 기원설과 힌두민족주의 12 사띠와 자살특공대의 힌두교적 논리와 그 사회적 의미 13 라나지뜨 구하와 서발턴 역사학 : 식민지 역사의 새로운 재구성을 위하여 주 출처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