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

신복룡 · 역사
256p
구매 가능한 곳

저자/역자

목차

글을 시작하며 바다를 버려 나라를 잃었다 -전사는 푸대접받고, 반전주의자는 의기양양한 나라 : 하멜, <하멜표류기> 조선은 황금이 넘쳐나는 나라 -왜곡된 견문기가 약탈심을 부추기다 : 뒤 알드의 <조선전> 서세동점기의 교두보 '서해 5도'의 풍물 -나폴레옹 황제도 오고싶어 했던 땅 : 홀, <조선서해탐사기> 단순한 도굴범이 아닌 문화인류학자로서의 조선 견문기 -한국인의 혈통에 깊은 관심 기울여 : 오페르트, <금단의 나라 조선> 일본을 알려거든 조선을 먼저 보라 -일본을 사랑했던 반식민지사학자의 한국관 : 그리피스 <은자의 나라 한국> 조선은 자주국인가, 봉신국인가 -풍운의 한말에서 두 논객의 충돌 : 데니, <청한론> / 묄렌도르프, <청한종속론> 단백질 섭취량이 세계를 지배한다 -영국인들의 궁극적 관심은 자원 탐사 : 칼스, <조선풍물지> / 켐프, <조선의 모습> 젊은이의 나태함이 망국을 부른다 -한국은 러시아의 먹이가 될 것이다 : 길모어, <서울풍물지> 한반도는 다민족의 혼혈 사회 -문화인류학자의 붓으로 그린 `고요하지 않은 아침의 나라` : 새비지-랜도어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 한국인은 나라 밖에서 성공하는 민족 -기생충 같은 관리가 조국을 등지게 만들어 : 비숍,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한국 여성개화사의 큰 별, 언더우드 여사 -명성황후 어의의 눈에 비친 조선 : 언더우드, <상투의 나라> 조선의 인정이 산업화를 막는다 -지도층의 부패와 미국의 배신이 망국을 불러 : 헐버트, <대한제국 멸망사> 조선은 우상의 나라가 아니다 -순교가 미덕이라는 위험한 사고를 경계 : 알렌, <조선견문기> 조선의 지배층에게 망국의 책임을 묻는다 -영국「데일리 메일」기자가 본 망국의 전야 : 매켄지, <대한제국의 비극> / <한국의 독립 운동> 한글은 가장 과학적이고 쉬운 문자 -최초의 한영사전을 편찬한 문서 선교의 개척자 : 게일, <전환기의 조선> 어린이가 우는 사회에는 행복이 없다 -뿌리 깊은 남아 선호와 아동 학대의 나라 : 와그너, <한국의 아동 생활> 무저항 투쟁으로 독립을 얻은 나라는 없다 -비분강개만이 애국은 아니다 : 켄달, <한국 독립 운동의 진상> 조선은 중립화가 살길이다 -대한제국의 망국을 지켜 본 미국의 마지막 고문 : 샌즈, <조선비망록> 한국은 스스로 일어나야 한다 -한국의 희망은 젊은이들뿐 : 드레이크, <일제 시대의 조선 생활상> 나라가 망하니 짐승들도 죽어가누나 -한반도의 생태계 연구라는 이름의 남획자 : 베리만, <한국의 야생 동물지> 글을 마치며 찾아보기

본 사이트의 모든 콘텐츠는 왓챠피디아의 자산이며, 사전 동의 없이 복제, 전재, 재배포, 인용, 크롤링, AI학습, 데이터 수집 등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합니다.

  • 주식회사 왓챠
  • 대표 박태훈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 신덕빌딩 3층
  • 사업자 등록 번호 211-88-66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