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말 : 사진첩을 열면서 판도라 사진 모임 연대기 용산역 성매매집결지 약도 판도라 프로젝트 사진작가들 심부자 · 전미순 · 백경옥 · 정공주 · 박금자 · 송곰례 · 정미자 · 조미숙 · 황혜숙 · 고연주 · 주연미 · 문숙희 1부_용산역 앞 성매매집결지로 들어가는 몇 가지 경로 1. 언니들을 만나러 찾아가는 길 (김애령) 송반장네 야식 · 대추나무집 · 성노동자의 날 · 청소년금지구역 2. 낯선 공간을 알아가기 (이희영) 내가 처음 가본 용산, 대승여관 · 내가 모르던 색깔들 · 불타버린 이웃동네 · 부서지는 공간 3. 기억 속의 집결지 골목 (이옥정) 용산의 이웃들은 어디로 갔나? · 다이아 골목의 여인들 · 수정이 집무실 · 남대문 언니네 · 왕거미 골목 · 문화식품 할머니 · 용산의 그 뒷골목과 헤어지기: 고별미사 · 마지막 덕담 2부_판도라 상자 속 사진들 1. 카메라를 든 언니들 (이희영) 2. 내 손, 내 발, 내 얼굴 (김애령) 3. ‘올바른’ 사진 찍기 (이희영) 4. 인생의 열정과 상처들 (이희영) 5. 집들이 (김애령) 6. 용산 토박이 ‘섹스워커’에서 다른 삶으로… : 고연주 언니의 사진들 (원미혜) 7. 한 걸음씩 세상으로… : 황혜숙 언니의 사진들 (원미혜) 8. 낯선 공간의 산책자, 함께 걷는 카메라 (원미혜) 3부_판도라 상자가 열리면 1. “이렇게 모이는 게 참 좋아” : 판도라 모임 뒷얘기 (백재희) 2. 판도라 사진전이 열리기까지 (쳉실링) 3. 판도라 사진전 : 백경옥 언니와 함께 (김애령, 백경옥) 4부_이미지 읽기 1. 생활세계로서의 용산 (이희영) 2. 말하기의 ‘다른’ 방식 (김애령) 에필로그 : 판도라의 힘, 삶을 이야기로 전환하는 원동력 (원미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