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생물학과 윤리

피터 싱어 · 인문학
328p
구매 가능한 곳
content
별점 그래프
평균 3.6(20명)
0.5
3.5
4
5
평가하기
3.6
평균 별점
(20명)
코멘트
더보기

<동물 해방>을 잇는 피터 싱어의 고전적 저작. 그는 이 책에서 혈연과 공동체의 성원들을 보호하려는 유전적 토대를 가진 이타성에서 윤리의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에 따르면 이러한 이타성이 곧 윤리는 아니며, 이성 능력이 역할을 함으로써 오늘날의 윤리로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 책에서 싱어는 윤리의 전적인 생물학화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지만 그럼에도 생물학적 접근의 긍정적인 측면을 일부 인정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우리는 생물학적·문화적 설명을 통해 일부 윤리 이론들의 정체를 폭로함으로써 그 위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유전자의 역할 인식을 통해 유전자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별점 그래프
평균 3.6(20명)
0.5
3.5
4
5

"우리가 사랑한 마법의 공간"

35주년 기념 재개봉, 극장에서 다시 만나요

왓챠

저자/역자

코멘트

3

목차

2011년판 서문 초판 서문 제1장 이타성의 기원 윤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 | 동물의 이타성 | 진화와 이타성 | 혈연 이타성 | 호혜적 이타성 | 집단 이타성 제2장 윤리의 생물학적 토대 인간의 윤리에서의 혈연선택 | 호혜적 이타성과 인간 윤리 | 집단 이타성과 인간 윤리 제3장 진화에서 윤리로? 적대적 인수 | 생물학이 윤리 문제에 시사하는 바가 있는가: 세 가지 가능성 | 윤리 이론과 생물학적 탐구 결과 | 윤리의 실체 폭로 | 궁극적 가치들에 대한 생물학적 기초? | 궁극적인 선택 제4장 이성 이성의 본질 | 첫 번째 단계 | 발전하는 이성 | 이성적 토대 | 도덕적 고려 범위의 확장 제5장 이성과 유전자 이기성 | 비이기성 | 가치양립 제6장 윤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 과학과 도덕적 직관 | 개인적 결정과 사회적 규율 | 규칙의 필요성 | 생물학을 넘어서? 출처에 관한 주석 2011년판 후기 역자 후기 찾아보기

출판사 제공 책 소개

윤리란 무엇이며 도덕적 기준은 어디서 왔는가? 윤리란 무엇인가? 도덕적 기준은 어디서 왔는가? 그러한 기준은 어디에 토대를 두고 있는가? 정서인가, 이성인가 아니면 옳고 그름에 대한 생래적인 감각인가? 많은 과학자들이 생각하기에 그 핵심은 생물학, 특히 진화와 자기 보존에 관한 다윈주의 이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만약 진화가 생존을 위한 투쟁이라면 우리가 여전히 이타성을 발휘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피터 싱어는 자신의 고전적인 저작인 『사회생물학과 윤리』에서 혈연과 공동체의 성원들을 보호하려는 유전적 토대를 가진 이타성에서 윤리의 기원을 찾아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에 따르면 이러한 이타성이 곧 윤리는 아니며, 이성 능력이 역할을 함으로써 오늘날의 윤리로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이 책에서 싱어는 윤리의 전적인 생물학화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지만 그럼에도 생물학적 접근의 긍정적인 측면을 일부 인정하고 있다. 그에 따르면 우리는 생물학적·문화적 설명을 통해 일부 윤리 이론들의 정체를 폭로함으로써 그 위상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으며, 유전자의 역할 인식을 통해 유전자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할 수 있게 된다. 동물 해방 운동의 바이블이라 일컬어지는 『동물 해방』을 잇는 피터 싱어의 고전적 저작. 만약 ‘무엇인가를 해야 할 이유가 있음을 충분히 인식한 사람일지라도 반드시 그에 의해 동기 지워지는 것은 아니다’는 것을 인정함으로써만 행동을 할 객관적 이유가 있다는 주장의 설득력을 인정받는다면 우리가 너무 많은 희생을 대가로 승리를 거둔 것은 아닌가? 우리가 ‘당신이 옥스팜에 기부해야 할 객관적인 이유가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만약 당신이 기부하게 할 동기를 갖게 할 수 없다면 빈자들의 형편은 나아지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만약 우리가 객관적인 규범적 진리라는 개념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의 도덕적 직관에 호소하는 방법의 대안을 갖게 되었다고 분명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의 최선의 과학적 이해에 따르면 일상생활 속에서의 도덕적 직관은 우리 진화사의 어떤 시기에 적응에 도움이 되었음이 입증된 정서에 기초를 둔 반응이다. 그런데 객관적인 도덕적 진리가 존재한다면 우리는 ‘이러한 직관의 반응’과 ‘모든 이성적인 쾌고 감수 능력이 있는 존재’를 구분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피터 싱어, 「2011년판 후기」 중에서

이 작품이 담긴 컬렉션

5
  • 데이터 출처
  • 서비스 이용약관
  • 개인정보 처리방침
  • 회사 안내
  • © 2025 by WATCHA, Inc.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