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저자 서문 청일.러일전쟁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이 필요한 때 서장序章 근대일본의 전쟁에 대해 ‘전쟁’과 ‘평화’|긴 ‘전후’의 의미|근대일본과 전쟁|‘전전戰前’이라는 시대|청일.러일전쟁=‘조선전쟁’|시바 료타로의 『언덕 위의 구름』|‘밝은 메이지’와 ‘어두운 쇼와’|근대일본의 전쟁경험을 되돌아보다 제1장 청일전쟁: ‘제1차 조선전쟁’ 1 메이지 유신의 종료 ‘덴포 노인’과 ‘메이지 청년’|두 개의 정부|조선.청국과의 국교|사이고와 오쿠보의 죽음 2 청일전쟁의 각 국면 갑신정변과 톈진 조약|갑오농민전쟁|조선왕궁점령: ‘7월 23일 전쟁’|비장한 염원, 조약개정|외무대신 무쓰 무네미쓰| 선전포고의 타이밍|뤼순 학살사건|청일강화조약|열강에 대한 ‘경제적 뇌물’|3국간섭|메이지 천황의 본심은?|타이완 정복전쟁 3 청일전쟁 후 동아시아와 일본 청일전쟁 후 청국분할|청일전쟁 후 경제.사회|민비학살|중국관: ‘존경’에서 ‘경멸’로|청일전쟁이 낳은 ‘국민’의식 제2장 러일전쟁: ‘제2차 조선전쟁’ 1 의화단전쟁 의화단운동이란 무엇인가|연합군의 승리와 약탈|일본군의 활약과 영일동맹 2 러일전쟁과 한국병합 「한일의정서」|전쟁 개시 경위|전쟁 비용 조달과 다카하시 고레키요|러시아 퇴각전과 뤼순 공략| 펑톈 전투에서 동해해전으로|‘상처투성이로 끝난’ 러일전쟁|포츠머스 조약|‘히비야’ 폭동사건|러일전쟁 후 경제.사회|전후경영 3 러일전쟁 전후의 언론 개전론 고양|「요로즈초호」와 고토쿠 슈스이|우치무라 간조.요사노 아키코|톨스토이의 러일전쟁론|포츠머스 조약 비판| 도쿠토미 로카의 예언|러일전쟁은 필요한 전쟁이었나? 4 『언덕 위의 구름』이라는 작품 『언덕 위의 구름』의 마지막 절|영상화 거부|시바 료타로의 ‘여담’|역사와 소설 제3장 한국병합과 21개조 요구 1 러일전쟁에서 한국병합으로 한국병합과 21개조 요구|한국은 사실상 러일전쟁 중에 합병되었다|헤이그 밀사사건|토지.철도.금융을 점유하다| 한국의 지도 검게 물들다|한국병합의 의미 2 대역사건 한국병합과 대역사건|아카하타 사건에서 대역사건으로|도쿠토미 로카의 ‘모반론’|이시카와 다쿠보쿠의 「코코아 한 모금」| 나가이 가후의 「불꽃놀이」|사회주의: ‘암흑기’로 3 메이지 시대의 종언 조약개정 실현|신해혁명과 메이지 시대의 종언|제1차 호헌운동과 지멘스 사건|사라예보 사건에서 ‘유럽 대전’으로|일본의 ‘참전외교’ 4 21개조 요구 제1호~제4호의 요점|초강경론 제5호|중국의 능란한 외교전|제5호 요구 삭제를 결정|왜 일본은 21개조 요구를 내밀었나 제4장 ‘세계대전’: 그 영향 1 세계대전 경기와 일본사회의 변모 세계대전 호황과 산업.경제|니시하라 차관|시베리아 출병|쌀소동과 대중운동의 시대 2 강화에서 군축으로 베르사유에서 워싱턴으로|가토 도모사부로 선언서 ‘미일전쟁은 불가능’ 3 3·1운동과 5·4운동 조선의 3·1독립만세운동|중국의 배일 ‘5.4운동’|근대일본의 군사행동과 조선.중국 4 폭풍이 스쳐간 뒤 버블 붕괴와 1920년 전후공황|간토 대지진과 진재어음|1927년 금융공황과 산둥 출병|금해금金解禁과 1929년 쇼와 공황 종장終章 다음 ‘세계대전’: 그 징조 불황과 테러, 우경화|테러리스트의 마음: 오누마 쇼의 진술|‘동아시아 50년전쟁’시대의 종결 참고문헌 저자 후기 전쟁·조선·중국 세 요소로 본 근대일본의 역사 역자 후기 청일·러일전쟁, 놓쳐버린 10년 나아갈 10년, 한·중·일 간 역사 마주보기 찾아보기ㆍ인명 찾아보기ㆍ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