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글 선술집에서 역사를 읽다 금전을 담보로 주류를 제공하는 영업 공간 본서의 세 가지 키워드 제1장 고대 오리엔트.그리스.로마_선술집의 탄생기 선술집은 언제 처음 생겼을까|술은 언제부터 마셨을까|함무라비 법전과 선술집|고대 이집트의 국민 음료|화폐경제와 유흥 문화|고대인의 손님 접대|유대교와 그리스도교의 무상 접대|빵과 와인|술고래의 도시, 비잔티움|그리스인의 주도|간판의 기원|선술집에 드나들었던 황제|농촌에도 선술집이 있었을까 제2장 유럽의 중근세_선술집의 전성기 선술집의 암흑기|선술집의 부활|영국의 선술집|영국의 선술집과 업종의 분화|상류계급 밀회의 장소, 태번|대니얼 디포가 본 선술집 풍경|커뮤니티 센터로서의 선술집|프랑스와 독일의 선술집|숙박과 선술집을 의미하는 말|술 빚는 수도원|프랑스의 와인|위험한 산티아고 순례|독일의 맥주 양조장|순수령|수도원 선술집|오스트리아의 와인 전성시대|마을 선술집의 복합 기능|도적들의 아지트, 도로 부근의 선술집|선술집의 불명예|슬라브인의 선술집|동토의 땅과 보드카 제3장 유럽의 근현대_선술집의 쇠퇴기 대중 카페의 등장|메뉴의 탄생|문명의 상징, 호텔|과학 기술과 선술집|빅토리안 펍|화려하게 꾸민 싸구려 술집, 진 팰리스|뮤직홀의 전성기|선술집의 천국, 프랑스|노동자들의 만남의 장소|성스런 월요일과 노동자의 애환|음악 카페|최초의 근대적 카바레 ‘검은 고양이’|정치 풍자|히틀러와 선술집|미국의 선술집|금주운동의 태동|미국의 금주법|알 카포네와 밀주 사업|유럽의 금주운동|여행과 스포츠의 시대 제4장 이슬람의 선술집 술과 코란|이슬람 증류주|하층계급의 술, 브제|칼리프와 술|이교도의 선술집|오리엔트 카페|와인과 커피|이슬람의 선술집, 카페의 문화|커뮤니티 센터로서의 모스크|인도의 선술집 제5장 중국과 한국의 선술집 은나라의 술잔|시선 이백|중국의 포도주와 증류주|송대의 선술집|사원과 다관|다관과 도시 문화|한국의 가양주 문화|주막 제6장 일본의 선술집 일본의 주신|일본의 화폐경제|무사의 술집, 가마쿠라 시대|술의 전성기, 무로마치 시대|일본과 서구의 음주 문화|에도의 번성|엔터테인먼트의 중심, 차야|생계형 선술집|메이지 이후의 선술집 제7장 교회와 선술집 교회의 연회|관혼상제와 선술집|세례 축하|세 번의 결혼 피로연|관혼상제의 연회|순례 교회와 선술집 제8장 매춘과 선술집 철학하는 매춘부|고대 로마와 비잔틴 제국|공창제도의 기원|사람이 모이는 곳이라면|20만 명이나 되는 선술집의 매춘부|선술집 매춘의 쇠퇴 제9장 예인과 선술집 술과 연극의 신, 디오니소스|출연료의 기원|의료 행위와 예능|예술과 대중 공연|선술집에서 사라진 예인 제10장 범죄와 음모의 선술집 도박의 온상|폭력의 일상화|절도와 명예|선술집은 음모의 거점인가|선술집과 여론 정치|여론 수렴의 공간|범죄와 음모의 분리 닫는 글 농촌의 화폐경제와 선술집 천한 선술집과 무상 접대 선술집의 복합 기능 기능 분리의 시대 근대 자본주의와 선술집 주 참고 문헌